우리나라 국민들은 정보화 역기능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로 개인정보 유출을 1순위로 꼽았다.
정보화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민, 기업, 정부 등 범사회적 참여와 대대적인 문화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행정안전부가 14일 한국관광공사에서 개최한 ‘2009 정보문화 심포지엄’에는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 10건이 발표돼 전문가들의 심도있는 토론이 펼쳐졌다.
전자신문 후원으로 개최된 이날 심포지엄에서 최홍석 고려대 교수는 “정보화 역기능은 사회적 질서와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디지털 위험(Digital Risk)으로 정의할 수 있다”며 “설문 조사결과 국민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테러, 유해사이트 순으로 디지털 위험을 느끼고 있다”고 발표했다.
김문조 한국사회학회장(고려대 교수)은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폭력 등과 같은 부정적 사례를 고려할 때 앞으로 사회구성원들의 보다 놓은 문화적 역량, 감성, 행위 등이 요구된다”며 “사이버시대 혼란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법·제도적 규범, 기업 자율규제 등과 함께 건전한 사이버 시민의식 고양 등 문화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이외에도 △신뢰의 정보문화 △소통의 정보문화 등을 주제로 건전한 정보사회로 발전하려면 범사회적 대응노력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행안부는 이번 심포지엄을 바탕으로 학교·지자체와 연계해 정보문화 교육 및 인터넷 중독 예방 등의 활동을 적극 펼치기로 했다. 또 내달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건강한 정보문화 확산을 위한 전국 규모의 행사와 캠페인을 개최하고 청소년 인터넷 예절 확산을 위해 학내 자율동아리 ‘아름누리 지킴이’ 등도 운영할 계획이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
과학 많이 본 뉴스
-
1
에이티센스, 세계 1위 '아이리듬'에 도전장…하반기 첫 美 진출
-
2
“AI 시장 급성장, 데이터센터 장비·산업용 로봇·의료시스템 유망” KOTRA
-
3
유한대학교, K-바이오 컨소시움 개최…바이오 인재 양성 협력 강화
-
4
충남-더본코리아, 푸드테크 육성 협약…내포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연계
-
5
AI로 건강검진 해석 넘어 개인 맞춤형 관리…'온톨' 서비스 주목
-
6
CRO 컨설팅 서비스 확장 제이앤피메디, 지난해 매출 500% 성장
-
7
[기고]세계가 집중하는 인공 적혈구, 활용 가능성이 핵심
-
8
[김주한 교수의 정보의료·디지털 사피엔스]트럼프의 미국은 어떻게 다시 위대해지나
-
9
제임스박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 美 시러큐스 첫 방문
-
10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미국 품목허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