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0904/090422063456_1166107354_b.jpg)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에 대응,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사업자 커뮤니티가 구성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DDoS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업자·관련 협회 등 40여개 기관이 참여하는 민간 분야 ‘DDoS 대응협의회’를 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협의회 구성으로 사업자들은 상호 간 정보 공유를 통해 DDoS 공격에 대한 자체 대응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정부에 대한 업체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협의회는 그동안 사업자들이 정부에 요청했던 다양한 정책 제안에 대한 추진 현황 소개와 더불어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황철증 방통위 네트워크정책관은 “방통위는 행안부 등에서 추진하는 공공 부문과는 별개로 국가정보원을 헤드쿼터로 하는 민간 부문에서의 방통위 고유업무와 사업자들의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한 가장 효율적인 민간 보안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와 업계는 △DDoS 공격을 조장하는 불법 게시물에 대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국내 7개 포털 참여)를 통한 자율 정화활동 △국가 차원의 영세 중소기업을 위한 DDoS 공격 긴급대피소 구축 △DDoS 사고 발생 시 피해업체가 ISP 또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 특정 ISP를 통해 전달되는 공격 트래픽 차단을 문서로 공식 요청하는 경우 신속 처리 △DDoS 공격에 대해 외교통상부·방송통신위원회·경찰청 등 관련 주요 정부기관이 전방위 외교를 추진하고 특히 중국발 DDoS 공격에 외교 대응 강화 등을 추진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