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5위권의 국가경쟁력을 갖춘 강국이다. 국가 연구개발 예산도 지난 2007년 1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
해는 12조3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가 연구개발사업 관리제도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 정부가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지만 대학·정부 출연연구기관·기업 연구소 등 연구현장의 체감도가 낮은 것이 사실이다. 이번에는 실제 연구
자들이 편리함을 느낄 수 있도록 큰 폭의 변화를 시도했다. 전자신문은 각 연구 주체들로부터 국가 연구개발 관리제도 개선안에 대한 평가와
함께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사회(박항식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기획관)=이번 개선안에는 연구현장의 어려움이 많이 반영돼 실질적인 개선이 될 것으로 평가한>
다. 정부가 노력했지만 개선안에 대한 산학연 연구현장의 느낌은 어떤지 잘 모른다. 개선방향을 놓고 토론해보자.
◇박재근(한양대학교 학술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좋은 제도로 바뀌어서 대학교수 사회에서 평이 굉장히 좋다. 대학의 숙원사업들이 풀>
린 것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항목별로 보면 간접비 제도 중 대학에서 연구원 채용할 때 연구비와 간접비 분리한 것이 혁신적이다. 특히 >
간접비에서 연구개발 능률 성과급을 지급할 수 있도록 허용해 연구를 많이 한 교수는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만들어졌다. 대응자금
의무화 규제개선도 환영한다. 한 가지 추가하면 요즘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데, 이미 계약된 과제에 대해서도 대응자금을 폐지해 줬으>
면 한다.
◇나경환(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지금까지 많은 제도개선이 있었는데, 상당부분 관리자를 위한 개선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수요자인 연구
자 시각에서의 제도개선이 이뤄진 것이 차이점이다. 지금까지는 연구 외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이 상당히 많았다. 제안서를 쓸 때 연구자와 평>
가자도 잘 모르는 것을 쓰는 일이 있었는데, 이제 이런 부분이 개선됐다. 연구비 세목이 줄어들어 연구하는 사람 쪽에서 보면 사업계획에 대>
한 시간적·정신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더불어 사업 간 예산 조정부분도 지금보다 훨씬 확대됐으면 좋겠다. 직접비, 간접비, 인건비
울타리도 낮춰주면 좋겠다.
◇성창모(효성기술원장)=교과부 행정이 신뢰하는 행정으로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면서 연구원과 교수들을 >
믿고 하는 것 같다. 보완할 점을 보면 자율성 확대로 인해 연구비 정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지금은 회계관리를 학생이 하는 일이 많다. >
앞으로는 산학협력단에서 회계관리를 해줘야 한다. 결론적으로 선진국형 제도로 많이 오픈되고, 교수들이 잘 활용해서 세계 1등 가는 연구성>
과를 많이 냈으면 좋겠다.
◇사회=칭찬을 많이 해주신 것 같다. 제도를 살펴보면 보완해야 할 점이 분명히 있다. 수요자 시각에서 현재 만들어진 제도 위주로 보완사>
항과 근본적인 연구개발 방향을 위한 개선책을 말씀해 주셨으면 한다.
◇박재근=개선된 제도가 반드시 실시되도록 해야 한다. 인건비 풀링제는 몇몇 대학, 연구실에 시범적으로 실시하다 실패한 바 있다. 대학에
서 좋은 제도가 정착될 수 있게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다. 특허 등록 지원할 수 있는 예산도 검토했으면 한다. 간접비 중 특허 지원할 수 있는
비용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큰 대학일 수록 운영비가 많아 간접비에서 많이 할당하기 어렵다.
◇성창모=새 제도를 도입할 때는 예상 문제점이나 결과를 시뮬레이션 해야 한다. 그래서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실시해야 한다. 그런데
이 부분이 부족하다. 미국에서 교수활동을 하며 이런 과정을 겪었던 사람들을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과기 공제회 출연재원 마련한 것은
좋다. IMF 때 과학기술인들이 사기저하 됐는데, 사기 살릴 수 있는 길은 교직원 공제회처럼 과기공제회 활성화해서 연구만 열심히해도 노후>
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경환=큰 골격은 잡았는데, 운영하면서 문제가 생길 소지는 있다. 지속적으로 운영에 따른 보완책을 마련해 궁극적으로 연구에 투입되는
시간과 효율성을 높이면서 성과도 높이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두 번째는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 윤리의식이다
. 지금도 연구윤리 분야 지원하고 교육하는데, 이를 더 확대해서 연구윤리 분야가 같이 발전해야 이번 제도가 성과내고 정착할 수 있을 것이>
다.
◇사회=마지막으로 연구관리 시스템상 추가적인 보완사항 얘기가 필요할 것 같다. 연구과제 선정, 평가 등에서 연구자들이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방안을 듣고 싶다.
◇박재근=융합기술화되고 있는데, 전문가 인력풀에 한계가 있다. 지연·학연 등을 막다보니 전문가가 평가하지 못하는 때가 있다. 지연 등>
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더 중요한 것은 평가자의 양심을 믿어야 한다. 진짜 전문가가 평가할 수 있도록 인력 풀을 정리해서 전문가들이 평가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나경환=전체 연구관리 프로세스를 보면 기획이 상당히 중요하다. 기획 기능 강조하고, 기획 관련 예산이나 시간 투자를 지금보다 크게 해
야 한다. 이 비중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최근의 연구는 국제협력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외국의 연구관리나 특허 등의 제도가 국내와 상이한
것이 많은데, 외국 대학이나 연구기관 관리체계까지 고려해서 국제 협력사업 규정을 별도로 마련하면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성창모=평가시스템에서 제일 중요한 이력관리시스템이 안 돼 있다. 후평가에서 본인이 제시한 목표와 많이 다른데도 넘어간다. 이런 것은
절대 허락하면 안 된다. 엄격하게 했으면 좋겠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5년 전 업비트서 580억 암호화폐 탈취…경찰 “북한 해킹조직 소행”
-
2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아이폰17 에어, 구매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
3
5대 거래소, 코인 불장 속 상장 러시
-
4
코웨이, 10년만에 음식물처리기 시장 재진입 '시동'
-
5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6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5에 구글맵 첫 탑재
-
7
나무가, 비전 센싱 기반 신사업 강화…“2027년 매출 6000억 이상”
-
8
속보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
-
9
美 한인갱단, '소녀상 모욕' 소말리 응징 예고...“미국 올 생각 접어”
-
10
재생에너지 키운다더니…지자체간 태양광 점용료 4배 차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