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의 심장부 `정부통합전산센터`를 가다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정부통합전산센터 현황

‘겹겹의 철통 보안은 기본, 친환경까지 챙긴다.’

전자정부의 심장부인 정부통합전산센터(NCIA). NCIA는 그 역할의 막중함 때문에 그 운영체계가 상당부분 베일에 쌓여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곳이 뚫리면 그 자체만으로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혼란을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실제 이 건물의 보안 등급은 국방부 보안시설 등에 부여되는 가급이다. 이 때문에 6중 방어체계, 3중 분석체계의 보안관제 시스템과 철통 보안 시설을 갖췄다.

대전 1센터는 출입구부터 곳곳에서 삼엄한 경비태세가 느껴졌다. 특히 입구에는 대형 차량이 갑자기 돌진할 경우를 대비해 육중한 차단장치가 설치돼 있다. 정문과 건물 출입구 사이에는 적외선 감지장치가 장착된 철창이 있어 작은 흔들림도 알아챈다. 철창에서 흔들림이 감지되면 건물 꼭대기에 설치된 조명이 흔들린 곳을 비춘다. 철창과 건물 곳곳엔 160대 가량의 CCTV가 설치돼 있다. 방문자의 신원과 디지털 저장장치 소지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다.

강중협 센터장은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우리나라 중앙행정부처의 주요 전산 시스템을 집적해 운영하는 기관”이라며 “물리적으로나 시스템적으로나 철저한 보안감시체제가 가동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센터는 주민등록·조달·관세 등 국민생활과 기업 활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19개 부처의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 총 6200대에 가까운 전산장비를 운영한다. 광주에 있는 2센터는 국세·외교·공안·경찰 등 국가안보와 사회질서 유지에 필수적인 20개 부처의 총 5500대 정도의 전산장비를 운영한다.

그 역할의 무게감에도 불구하고 정부통합전산센터 역시 최근 전세계의 흐름인 친환경에서 비껴서 있지 않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앞으로 그린테크놀로지(GT) 기반환경을 수립해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사용과 에너지 절약 및 전산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센터로 거듭날 계획이다. 이를 위해 GT 기반 환경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 오는 18일 연구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센터 운영총괄팀 이윤규 공업사무관은 “1, 2센터가 사용하는 전기요금은 이미 연간 80억원에 이르며, 전기수요가 매년 26%씩 늘고 있다”며 “일반적으로 5년이면 IDC 공간이 다 차기 때문에 전산실 확충과 전력 공급시설 증설이 시급해 어마어마한 전기요금을 절약할 방안도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4년 12월 대전 센터가 공사를 시작하기까지 각 정부기관들의 반발과 이견이 끊이지 않았다. 센터가 과연 성공적으로 안착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광주 2센터까지 완공되면서 이런 잡음은 일단 잠재워졌다.

그러나 이제 더 큰산이 기다리고 있다. 그동안 센터 설립과 시스템 안정화 및 조직 융합이 통합전산센터의 주요 과제였다면 앞으로는 시스템 통합을 무리없이 추진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