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육·해·공 그리고 정보화

 국토해양부 대변인실은 매일 한두 건의 보도 해명자료를 낸다. ‘○○○ 기사는 사실과 다름’이라는 해명자료가 안 나오는 날은 왠지 이상할 정도다. 바꿔 말하면 국토해양부 정책에 대한 언론·시민단체·국민의 관심이 다른 어떤 부처보다도 높다는 방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금까지 웬만한 장관들은 여론에 민감한 사안 챙기기만도 급급해 대한민국 육·해·공(내륙·해양·항공)의 미래 인프라 구축을 고민할 겨를이 없었던 게 현실이다. 더욱이 미래 인프라·차세대 먹거리의 근간이 되는 정보화·IT화·미래 하이테크 산업은 업무 내용이 복잡하고 국토해양부 본연의 업무와 다소 거리가 있다는 선입견 등으로 인해 장관들의 관심권 안에 들지 못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 새출발하는 국토해양부의 첫 장관인 정종환 장관은 기자와 만나 “이쪽(정보·하이테크 산업) 분야와 관련해서는 과거 많은 일을 해 봤다. 육·해·공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정보화가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역대 장관들에게 존재했던 하이테크·정보화·IT 등의 ‘진입장벽’이 정 장관에게 없는 셈이다. 이는 정 장관이 국토해양부의 업무 특성상 ‘시끄러운’ 사안에 역량을 쏟아부을 수밖에 없는 구조 속에서도, 기본적으로 체득하고 있는 미래 인프라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자들의 목소리를 소화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국토해양부는 하늘과 땅과 물을 다스린다. 그리고 이를 한층 효율화하기 위해 첨단기술·정보화를 녹여 넣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정 장관은 고유업무에 정통하면서 정보화 마인드까지 무장한 장관으로 자처한다. 국토해양부가 ‘규제부처’ ‘굴뚝부처’라는 일부 왜곡된 이미지를 벗고 미래를 선도하는 첨단 하이테크 부처로 거듭나는 것은 온전히 정 장관의 몫이다.

 심규호기자<정보미디어부> khs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