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소형 실시각 정보제공 모듈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정광화)은 기반표준부 길이/시간그룹 김영범 박사 연구팀이 아이에스콤의 지원을 받아 방송시보 서비스를 활용한 소형 실시각 정보제공 모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모듈은 가로 4㎝, 세로 5㎝, 높이 0.5㎝인 명함 절반 크기로 전원만 연결하면 언제든지 정확한 현재의 시각을 알려준다. 또 추가 시설투자 없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존 방송시보를 활용했다는 점이 장점이다. 기존의 방송에서 매 시각 제공하고 있는 톤(tone) 신호 형태의 시보서비스에 동기되는 방식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현재 서비스 중에 있는 상용방송의 시보를 기반으로 한 실시각 정보제공 모듈은 세계적으로 처음 있는 독특한 방식”이라며 “장파방송이 없는 국내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최적의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실시각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장파나 단파 전용방송을 사용하거나 GPS(전세계위치측정시스템)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컸다.

특히 장파를 사용할 경우, 설치비용은 500억원 이상, 운영비는 연간 수 십억원이 소요된다. 또 단파 역시 전리층 반사와 큰 안테나를 활용하는 등의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해 이용에 많은 한계가 노출돼 왔다.

김영범 박사는 “향후 KBS에서 시보 신호발생을 위한 클록 발생기의 품질을 현재보다 개선할 경우, 이번에 개발한 모듈의 시각정보 오차는 10㎳ 이하로 낮춰질 수 있다”며 “유비쿼터스 시대에 부합하는 응용기술로 활용 분야 또한 넓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