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시민단체들이 인터넷 업체의 개인정보 무단 이용에 반발, 집단 대응에 착수했다고 1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미국소비자연맹·국제사생활포럼·민주주의기술센터 등 9개 시민단체들은 인터넷 업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온라인 광고기법인 ‘행동타깃팅(behavioral targeting)’ 방식이 개인 사생활 침해 우려가 높다며 이를 제한할 것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정부에 공동으로 제출했다.
‘행동타깃팅’이란 웹사이트 방문자의 쿠키 파일(임시 인터넷 파일)에 담겨 있는 사이트 체류 시간, 클릭 페이지 등 웹 서핑 행동양식을 알 수 있는 모든 정보를 분석해 그 사람이 관심가질 만한 광고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기법을 가리킨다. 구글이 애드워즈라는 이름으로 처음 선을 보인 이후 야후·마이크로소프트(MS) 등도 대부분 이 ‘행동타깃팅’ 기법을 온라인 광고에 도입하고 있다. 인터넷 업체들은 쿠키 파일이 좀더 효과적인 광고를 하는데 사용될 뿐 다른 목적으로 악용되거나 영구히 저장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설사 광고 목적으로만 쓰이더라도 사전에 각 개인의 동의를 얻지 않고 임의로 인터넷 포털 또는 온라인 광고 업체가 정보를 사용해 영리를 추구하는 것은 금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주의기술센터의 레슬리 해리스 회장은 “이는 소비자의 인식과 선택에 관한 문제”라며 “소비자들이 개인정보를 공개해 맞춤형 광고를 볼 것인지 아니면 사생활을 보호받을 것인지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9개 시민단체들은 탄원서를 통해 △소비자가 개인정보 공개 여부를 선택하는 트래킹 옵트아웃(Opt-out)제 채택△인터넷 광고 시 개인정보 이용 고지 의무화 △소비자들에게 인터넷 업체가 보관 중인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단체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구글의 더블클릭 인수, MS의 에이퀀티브 인수 등 온라인 광고 산업이 점차 대형화, 조직화하고 있는 추세에 따른 것이다.
한편, 미 연방무역위원회(FTC)는 지난 99년부터 온라인 광고의 사생활 침해 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으며 오는 2일(현지시각)에는 구글의 더블클릭 인수 승인을 앞두고 ‘행동타깃팅’의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진단하는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조윤아기자@전자신문, forange@
국제 많이 본 뉴스
-
1
온순한 혹등고래가 사람을 통째로 삼킨 사연 [숏폼]
-
2
“2032년 충돌 가능성 2.3%”… NASA 긴장하게 한 '도시킬러' 소행성
-
3
팀 쿡 애플 CEO, 오는 19일 신제품 공개 예고… “아이폰 SE4 나올 듯”
-
4
"불쾌하거나 불편하거나"...日 동물원, 남자 혼자 입장 금지한 까닭
-
5
오드리 헵번 죽기 전까지 살던 저택 매물로 나와...가격은? [숏폼]
-
6
“30대가 치매 진단에 마약 의심 증상까지”… 원인은 보일러?
-
7
매일 계란 30개씩 먹는 남자의 최후 [숏폼]
-
8
“시조새보다 2000만년 빨라”… 中서 쥐라기시대 화석 발견
-
9
“9500원서 2만4000원으로”...日히메지성 입장료, 내년 3월부터 인상
-
10
돌반지 70만원 육박... 美 월가 은행들, 대서양 건너는 '금괴 수송작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