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 남충우 알렉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Photo Image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의 선진국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부품·소재분야 대일 역조와 서비스산업 적자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특히 국내 부품·소재기업이 외형상 덩치는 커졌지만 이제는 특허와 기술로 무장한 일류 부품·소재기업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남충우 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는 부품·소재산업 예찬론자다. 부품·소재산업은 그에게 신앙과도 같다. 이미 이 분야를 떠났지만 여전히 부품·소재산업 걱정이 끊이지 않는다. 남 변리사는 1970년 행정고시에 합격, 체신부와 상공부(현 산업자원부) 전자정책과장, 특허청 특허심판원 심판장,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상근 부회장 등을 역임하고 지난 7월 알렉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를 열었다.

 1990년에 상공부 전자정책과장 재직시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현 전자부품연구원)를 설립하고 부품·소재 육성사업인 ‘일렉트로 21 프로젝트’을 입안, 오늘의 한국 부품·소재산업 토대를 만든 주인공이기도 하다. ‘일렉트로 21 프로젝트’는 그 당시로는 생소한 실리콘웨이퍼·주문형반도체·세라믹 등 18개 핵심 부품·소재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승부수였다.

 남 변리사는 “그 당시만해도 삼성전자와 금성사(LG전자)가 TV나 VTR 등을 조립하던 시기였지만 부품·소재산업 육성 없이는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힘들다고 판단, 일을 저질렀다”며 “마침 그때 이와 비슷한 사업 전략을 수립했던 삼성전자도 이 프로젝트에 자극을 받아 서로 경쟁하듯이 일을 추진했다”고 회상했다.

 이처럼 일을 터뜨리자 그 당시에 기술 원조국인 일본도 긴장, 정부 차원의 조사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그는 “1990년대 쌍용양회가 일본의 무라타나 TDK 처럼 핵심 전자소재인 파인세라믹산업분야 진출을 검토했지만 결국 주저하다가 포기했다”며 “쌍용이 혜안이 있었다면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부품·소재기업이 있었을 지도 모르겠다”고 밝혔다.

 남 변리사는 최근 공직을 떠나 평소 신앙이나 다름없는 부품·소재·재료분야의 중소기업을 특허 기술 측면에서 지원하기 위해 특허법률사무소를 설립했다. 이제 국내 부품·소재기업이 한단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특허나 기술로 무장해야 할 때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중국과의 차별화 전략이 앞으로는 더 중요해질 것”이라며 “중국기업과 차별화하는 핵심 요소는 결국 특허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현재 중국의 특허 시스템이 지식재산권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더라도 향후에는 개선될 것이기 때문에 한시라도 빨리 중국에 특허를 출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돌이켜보면 우리나라 전자산업이 발전하게 된 것은 기업의 뼈를 깎는 노력과 산업자원부 등 정부의 뒷받침 그리고 국민에게 전자산업의 중요성을 매일 교육해준 전자신문 역할이 컸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전자신문이 이러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을 마쳤다.

 유형준기자@전자신문, hjyoo@

 박지호기자@전자신문, jihopress@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