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로봇에 애틋한 ‘감정’ 느낀다... 美 조지아텍 조사 결과

 전자제품과 로봇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가지 주요한 차이점을 시사해주는 흥미로운 조사가 나왔다.

 3일 AP통신은 미국 조지아텍 연구 결과를 인용, 사람들이 애완동물에 별명을 붙이고 아프면 걱정하듯 청소로봇에도 비슷한 감정행위를 나타낸다고 보도했다.

 이 연구 조사를 주도한 조지아텍 베키 그린터 교수는 “사람들이 청소로봇 제품인 ‘룸바’에 예쁜 옷을 입혀 놓은 사진을 보고 이상하게 여겨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룸바 사용자 온라인 포럼을 탐구한 결과, 청소기에 별명을 붙이거나 심지어 여행갈 때 청소로봇을 ‘데려가는’ 일까지 나타났다. 일반 전자제품에는 흔히 볼 수 없던 일이다. 심지어 집에서 청소로봇이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집안 구조를 바꿔놓거나 카페트를 새로 구매하는 것은 물론이고 애벌 청소까지 해놓는 경우도 있었다. 사실 룸바 초기 모델은 기술적 결함으로 고장이 잦았는데도 이를 애써 ‘감싸는’ 사용자도 많았다. 연구에 따르면 룸바 사용자 30명 중 21명이 청소로봇에 별도의 이름을 지어줬다.

 그린터 교수는 “감정을 풍부하게 하는 디자인은 원래 기술력보다 더 제품을 신뢰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면서 “특히 (감정을 풍부하게 유발하는) 로봇의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

 류현정기자@전자신문, dreamshot@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