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불법정보 바로 차단해야

Photo Image
유영환 정보통신부 차관이 대형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브리핑을 진행하며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앞으로 인터넷 포털과 파일공유(P2P) 서비스 사업자 등은 자사 사이트에서 불법·음란물이 유통되는 것을 인지하는 즉시 차단해야 한다. 또 1일 평균 방문자가 10만 이상인 인터넷 사업자는 사업을 접거나 사이트를 폐쇄하더라도 30일 동안 기존 서비스가 운영되도록 보증·공제체계를 갖춰야 한다.

 정보통신부는 30일 인터넷 이용자를 보호하고 대형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9월 정기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유영환 정통부 차관은 “국민의 70%(3400만명)가 인터넷을 쓰고 대다수 이용자가 하루에 1회 이상 주요 포털(네이버·다음·네이트)을 이용하는 등 대형 포털이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제 대형 포털에 ‘책임’이라는 단어를 추가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유 차관은 그러나 이번 개정안에 포함하지 못한 포털 등의 뉴스서비스 임의 편집행위에 대해서는 “다음달 말이나 9월 초까지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또 1일 평균 방문자 10만명 이상 사업자(22개 포털, 9개 UCC 전문사이트)로 하여금 보증·공제기구를 자체적으로 구성해 일정 공제금을 출연하도록 할 계획이다. 사업자별 공제금 규모는 웹서버 연간 운영비의 1%로 정해질 전망이다. 이 경우 네이버가 840만원, 판도라TV가 125만원 정도를 내게 될 것으로 예측됐다.

 정통부는 이 밖에 1일 평균 방문자 10만명 이상 사업자에 ‘검색순위 조작 방지’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반드시 취하고 P2P 사업자도 자사 서비스로 불법정보를 교환하지 못하도록 기술적 조치를 취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또 부정클릭으로 인한 광고비 청구행위 금지, 소액 광고비 분쟁조정기구 설치 등의 개정안을 마련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