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키보드로 중국어 입력 프로그램 개발

 지난 2003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3벌식 한글 자판을 개발한 안마태 신부(미국 성공회 소속)가 최근 중국에서 한글을 활용해 중국어를 쉽게 입력하는 프로그램 ‘안마태 정음수입법(안음 3.0)’을 개발해 화제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안마태 신부는 최근 중국 옌지에서 열린 ‘2007 다종 언어 정보처리 국제학술대회’에서 ‘안음 3.0’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안음 3.0은 한글을 한자의 발음기호 역할을 하도록 해 자판으로 한글을 치면 그에 따른 한자가 입력되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덩 샤오핑을 입력하면 鄧小平(등소평)이라는 한자가 나타난다. 소리 글자인 한글이 뜻 글자인 한자의 발음기호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한자를 낱자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낱말로 이해하도록 만들어 동음이의어가 많은 중국어를 쉽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안음 3.0에는 중국어 사전에 가까운 6만5000개의 중국어 단어가 입력돼 있어 여러 단어를 구분해 나타날 수 있게 했다.

 기존에는 중국어 발음만 단순하게 라틴어로 표기하도록 해(한어 병음) 동음이의어를 구별해 표현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따랐다. 게다가 안 신부가 개발한 방식은 3벌식처럼 자판을 함께 입력할 수 있어 영어 입력에 비해 3배 이상 빠르다는 설명이다.

 3벌식 자판 입력으로 화제를 모았던 안마태 신부는 1994년부터 중국 단둥에 ‘단둥안마태계산기개발공사’를 설립하고 중국어 자판을 개발한 바 있다.

 문보경기자@전자신문, okmu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