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가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오는 10월까지 ‘행정기관 웹 표준(안)’을 만들어 국민참여포털에 시범 적용한 뒤 확정안을 마련, 내년부터 전면 보급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행자부가 공공기관 웹사이트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웹 표준을 만들기로 한 것은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의 브라우저를 사용해 공공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액티브X 등 일부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등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공공기관 홈페이지 이용자는 익스플로러 외에 사파리·오페라·파이어 폭스 등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해 웹에 접속하고 있다. 이 수가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번에 행자부가 행정기관 웹 표준을 제정해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지원하기로 한 것은 다양한 사용자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이를 통해 정부가 익스플로러의 독점적인 지위를 강화시키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여론을 어느 정도 희석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공공기관 웹 표준의 핵심은 ‘접근성의 확대’에 있다. 이를 위해 행자부는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스타일 시트로 웹 표준화 국제기구인 W3C가 권장하는 CSS(Cascading Style Sheet) 방식을 채택하기로 했다. CSS를 적용하면 웹페이지의 한 가지 요소만 바꿔도 관련 페이지의 내용이 한꺼번에 변경돼 문서의 일관성이 뛰어나다. 실무적인 차원에서 웹 표준화 업무를 지원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진흥원이 행자부와 협의해 좋은 안을 내놓겠지만 향후 점차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잘 활용될 수 있는 표준안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정작 웹 표준안을 만들어 놓았는데 정부나 공공기관이 잘 활용하지 못한다면 큰 문제다. 일각에서는 벌써 비용이나 시간 등 문제로 공공기관 웹 표준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을지 모른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일선 학교에까지 웹 표준이 보급되려면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새로운 표준 환경으로 웹사이트를 전환하는 데 적잖은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액티브X 등 기술을 많이 활용하는 홈페이지는 상당한 정부 예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웹 표준을 너무 짧은 시간에 전 기관에 확대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고 본다. 따라서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사이트나 기관을 중심으로 웹 표준을 정착시키고 점차 확대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또 웹 표준으로 전환시 초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가급적이면 접근성을 우선 보장하는 쪽으로 사이트를 개편했으면 한다.
아울러 정부는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웹 표준이 정착되면 민간 홈페이지에도 이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민간에까지 공공기관 웹 표준을 확대하는 것은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 현재 공공기관과 민간을 중심으로 표준화 활동이 다양한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한 표준을 일방적으로 민간에 밀어붙인다면 반발을 살 수도 있다. 다른 정부기관 또는 표준화 기관과 구체적으로 협의해 민간의 의견을 폭넓게 수용하기를 바란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3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4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5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6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7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