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고분자 나노 박막기술 개발

Photo Image

 광주과학기술원(GIST·원장 허성관) 신소재공학과 박지웅 교수팀은 유기 트랜지스터나 유기 태양전지 등 차세대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나노 박막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박 교수팀은 고분자를 일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해 나노 미터 두께의 초박막 필름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인터넷 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수십 나노미터 길이의 막대형 고분자의 한쪽 끝을 낮은 밀도로 고체 표면에 부착하면 평면 배열 구조의 단층 박막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박 교수는 “유기소자의 주원료인 전도성 고분자와 막대형 나노 입자를 기판 위에서 박막제조할 경우 배열을 제어할 특별한 방법이 없어 소자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걸림돌이 돼왔다”면서 “이번 연구성과는 차세대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이용해 유기트랜지스터·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광주=김한식기자@전자신문, h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