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이용 활성화 대책` 어떻게...

 정부가 31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의결한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IPv6) 이용 활성화 대책(안)’은 IPv6 지원 장비 전환율이 낮은 유선통신사업자와 정부·공공기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동안 각종 홍보활동 등으로 IPv6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에는 성공했지만 실제 보급 확산은 미흡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정부의 이번 계획은 기획예산처의 ‘예산 및 기금 운영계획 집행지침’에 반영될 전망이어서 일단 실현 쪽에 무게가 주어지고 있다. 정부는 실제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이 통신장비와 서버 등을 구매할 때 IPv6 적용 장비를 의무 구매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조달청 수요물자 구매업무처리규정에도 통신망 관련 장비 구매 요청 시 IPv6를 기본 요구 사항으로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 방침이 사업성 부족과 투자비 부담 등으로 IPv6장비 도입을 우선 순위에서 미뤄놓고 있는 통신사업자들에까지 미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IPv6 전환 어떻게 하나=IPv4환경에서 IPv6로 전환하려면 우선 공공기관·기업·가정 등 이용자 측에서 구내통신장비(라우터·모뎀 등)를 IPv6 지원장비로 교체하고 단말과 서버 운용체계(OS) 등도 이에 맞게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KT·SK텔레콤 등 통신사업자 역시 라우터·망 관리시스템·가입자인증 서버 등 통신장비를 대·개체해 인터넷전화·IPTV 등 서비스를 IPv6기반으로 전환해야 한다. 포털이나 콘텐츠제공업체(CP) 등 인터넷서비스사업자도 이용자에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IPv6환경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IPv6 전환 현황=통신사업자 가운데 SK텔레콤·KTF 등 이동통신사업자는 대부분의 전달망(백본망)을 IPv6로 전환완료한 상태다. 문제는 KT를 포함한 유선통신사업자이다. 유선사업자의 IPv6 전환비율은 전체 통신망의 14.8%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실제 통신사업자는 IPv6용 주소는 충분히 확보한 상태지만 IPv6기반으로 제공되는 응용서비스는 인터넷전화 정도로 취약하다.

 정부·공공기관 역시 IPv6 시범망을 구축해 통신사업자 간 접속서비스를 제공하고 도메인네임서비스(DNS) 서버 5대를 운용하는 수준이다. 전자정부 백본망의 경우는 아직 IPv4와 IPv6를 동시 지원하는 겸용장비를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

 ◇통신사업자 반응=통신사업자는 대체로 이번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IPv6) 이용 활성화 대책(안)’에 원칙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전환 시기나 속도 등에 대해서는 시장상황과 현재 IPv4 주소 고갈 추이를 보며 점진적으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KT 측은 일단 이번 정부 방침에 대해 적극 호응하겠지만 지금 당장 구체적인 일정을 내놓기는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KT 관계자는 “IPv6 전환은 언제든 해야 하는 사안이어서 기간망 준비 등은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장비교체 등이 이뤄져야 하는만큼 앞으로 시장상황과 주소고갈 정도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현재 LG데이콤과 함께 프리미엄 백본망 기반의 IPv6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하나로텔레콤도 IPv6 전환의 필요성은 수긍하되 다만 장비교체에 따른 비용부담이 있어 정확한 일정은 현재로서는 내놓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이밖에 LG데이콤은 IPv4 주소의 고갈에 대비해 단계적으로 백본 및 가입자망을 IPv6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주문정·조인혜기자@전자신문, mjjoo·ihch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