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통신사업자 차세대 먹거리 발굴에 `올인`-조직과 인사 개편 마무리

 새해 사업을 준비하는 7대 기간통신사업자의 조직개편과 인사가 지난주 일제히 마무리됐다. 성장이 정체된 국내 통신시장의 위기감을 반영하듯 △차세대 먹거리 발굴 △글로벌 사업 강화 △실적 중심의 발탁 인사 흐름이 뚜렷했다. KT·SK텔레콤 등 선발 사업자는 상대적으로 조직 안정화에 무게를 둔 반면에 하나로텔레콤과 LG데이콤 등 후발 사업자는 대규모 승진과 교체 등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중점을 뒀다.

◇성장! 성장! 성장!=이번 조직개편의 키워드는 성장이다. 성장동력은 신규사업과 고객접점 강화, 글로벌로 요약된다. 김신배 SK텔레콤 사장은 성장사업을 책임지는 CGO(Chief Growth Officer)를 자처했다. 신규사업, 성장전략그룹은 물론이고 이번에 신설한 중국사업 부문, 인터넷사업 부문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다.

 COO인 이방형 부사장에게 기존 사업을 맡기고 성장사업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다. 이에 앞서 11월 조직개편을 단행한 KT 역시 신사업과 성장사업, 고객 부문을 신설해 이 같은 기조를 분명히 했다. 특히 신사업과 성장사업을 일선 사업부문으로 배치해 현장 영업을 대폭 강화했다. KTF는 차세대 사업인 3G 중심의 조직으로 완전 탈바꿈했다. LG데이콤과 하나로텔레콤은 실적 중심의 발탁 인사를 통해 영업 극대화 전략을 예고했다.

 ◇ 조직 흔들기는 없었다=새해 통신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인지 조직과 인사에 전면적인 개편은 없었다. 대대적으로 혁신해 위험을 높이기보다는 조직을 안정시켜 착실한 성장을 이루는 게 더욱 낫다는 판단이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통신업체의 최근 조직개편은 일부 인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예측 가능한 내용들이었다”며 “큰 폭의 변화를 이루기에는 내년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중국사업 부문과 인터넷사업 부문, 성장전략그룹을 신설한 것 외에 큰 변화는 없었다. 인사도 몇몇 발탁인사를 제외하고는 무난했다는 평가다. KT도 신규 성장동력을 중심으로 조직 개편을 이루고 일부 발탁인사를 했지만 충격적인 내용은 없었다. LG데이콤·하나로텔레콤 등도 실적에 기반한 발탁인사로 성장기조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조직과 인사 개편을 마무리했다.

 ◇컨버전스 추세 대응 움직임=컨버전스 추세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했다. SK텔레콤은 이번 개편에서 인터넷사업 부문을 신설하고 조신 전무를 배치했다. 풀브라우징 등 새 흐름에 대응할 포털, 커머스 전략을 새롭게 짤 것으로 예상된다. KTF도 그동안 서비스 영역별로 조직체계를 구성했으나 최근 인사에서 비즈니스 부문과 고객서비스 부문으로 재배치했다. 커뮤니케이션(C사업본부)·인포테인먼트(IE〃)·거래(T〃)로 나눠 시너지 효과가 나도록 했다. LG데이콤도 컨버전스사업부를 신설했다. VoIP·IPTV·FMC 등 컨버전스 서비스에 대한 가정 수요를 적극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조인혜기자@전자신문, ihch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