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사장, 앤디그로브상 수상

Photo Image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왼쪽)이 IEEE의 클레온 앤더슨 CEO로부터 ‘앤드글로브상’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황창규 사장이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 명인(名人)으로 선정됐다.

 황창규 사장은 미 샌프란시스코 힐튼호텔에서 12일(현지시간) 열린 IEEE 산하 2006 IEDM학회 행사에서 세계 전기·전자분야 최고권위 단체인 IEEE 이사회가 수여하는 ‘2006 IEEE 앤디그로브 상’을 수상했다. IEEE 앤드그로브상은 2000년 이후 세계 반도체 및 관련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에 기여한 인사에게 수여해 온 세계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상이다.

 황 사장의 이번 수상은 미 스탠포드대학, MIT대학 교수들과 팻 겔싱어 인텔 CTO 등 반도체 학계 및 업계 저명 인사들의 추천으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이 상을 수상한 인물은 총 6명으로, 5명이 저명한 학자였고 기업인으로는 이 상의 후원사인 인텔의 마크보어씨가 유일했다. 황 사장의 이번 수상은 동양계 기업인으로는 최초다. 특히 황 사장은 지난해 미 전자산업협회(EIA)로부터 세계 전자산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인이 아닌 인사로는 최초로 ‘EIA 기술 리더상’을 수상한 바 있어, IT 산업 심장부인 미국 본토에서 2년 연속 전자 및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상을 받는 인물로 기록됐다.

 클레온 앤더슨 CEO는 수상식장에서 “다수의 혁신적인 메모리반도체 개발로 세계 반도체산업 발전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황 사장에게 이 상을 수여하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황사장은 “오늘 이 상의 의미를 미래의 ‘메가 트렌드’에 새롭게 챌린지하라는 채찍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세계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다짐한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특히 황 사장은 대학 시절 앤디 그로브의 ‘반도체의 피직스와 테크놀로지(Physics & Technology of Semiconductor)’라는 책에 심취하면서 반도체에 평생을 걸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개인적으로 이번 앤드그로브상의 의미는 각별하다.

 황 사장은 수상식 이후 3000여명의 학회회원·세계 반도체 학계 및 업계 저명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란 주제로 IEDM 기조연설도 가졌다. 연설을 통해 황 사장은 “IT·BT·NT 등 거대 산업이 창조적으로 융합될 퓨전테크놀로지(FT)시대의 도래로 반도체 산업은 앞으로 과거보다 더욱 큰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확신한다”며 “바이오·헬스케어·로봇· 우주, 심지어는 태양전지 등 친환경 분야에 이르는 미래분야에서도 반도체는 여전히 핵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사장은 또 “FT 시대가 본격 도래하는 머지 않은 미래는 퓨전 반도체 기술, 3D 트랜지스터 기술, CTF(Charge Trap Flash) 기술 등이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규호기자@전자신문, khs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