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단말기로 사진·동영상 등 사용자제작콘텐츠(UCC)를 만들어 내 취향대로 개인 홈페이지에 올리거나 좀 더 의욕적인 이용자라면 움직이는 인터넷 방송까지 제작할 수 있는 세상. 집을 비워둔 채 외출했을 때 지능형 로봇이 무단 침입자가 나타나거나 아이가 위험한 곳에 접근하면 휴대단말기로 즉시 상황을 전송해줄 수 있는 환경.”
이기태 삼성전자 정보통신 총괄 사장은 정보통신 분야의 해외 전문가가 대거 모인 자리에서 조만간 다가올 와이브로의 미래상을 이렇게 제시했다.
이 사장은 29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IEEE 글로브컴 2006’ 행사의 기조연설을 통해 “지금 정보기술은 온·오프라인, 유무선, 통신·방송 등 서비스 결합은 물론이고 다양한 통신·IT기기를 하나로 묶는 디지털 컨버전스가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바로 그 중심에 와이브로가 있다”고 미래 비전을 밝혔다.
이 사장은 와이브로가 개인 방송국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정도로 모바일 UCC 활성화의 기폭제가 되는 한편 차세대 홈 유비쿼터스 서비스, 교육·방범·방재·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지능형 서비스도 태동시킬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특히 “기존 홈네트워크 기술에 와이브로를 접목하면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홈 라이프가 실현될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준비 중인 와이브로 홈 서비스인 ‘유즈(Uz)’를 처음 소개했다. 유즈는 ‘유허브’라는 홈네트워크 서버와 와이브로 단말기인 ‘유모바일’로 꾸며지는 와이브로 홈 서비스의 밑그림이다. 일례로 유모바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면 유허브를 통해 가족앨범 코너에 사람과 날짜에 따라 자동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다.
와이브로가 지원하는 단말기도 현재 노트북PC·PDA·휴대폰은 물론이고 PMP·MP3플레이어·디지털카메라 등 접목할 수 있는 기기가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인터넷·이동통신·광대역 기술이 복합된 와이브로는 말 그대로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대를 본격 열어젖혔다”면서 “음성·영상통화에서 멀티미디어메시징(MMS)·모바일UCC·모바일TV·텔레매틱스에 이르기까지 와이브로는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 사장은 또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 및 픽스드(고정형) 와이맥스 시스템 개발을 위해 내년 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와이맥스가 아직은 시작 단계지만 오는 2008년부터는 돌풍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는 이 같은 거대한 흐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인 양키그룹은 전 세계 와이맥스 가입자가 올해 350만명에서 오는 2011년 2770만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IEEE 콘퍼런스에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전시회에 참가, ‘울트라에디션’ ‘디럭스미츠’ 등 최신 휴대단말기를 함께 선보였다.
서한기자@전자신문, hseo@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5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6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7
“브로드컴, 인텔 반도체 설계 사업 인수 검토”
-
8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
9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
10
속보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여야 합의로 산자위 소위서 가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