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2호 위성 발사 성공

Photo Image

 우리나라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2호가 발사에 성공했다.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열)은 다목적 실용위성 2호를 실은 러시아의 로콧 발사체가 28일 오전 11시 5분(한국시각 오후 4시 5분)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800㎞ 떨어진 러시아 플레세츠크 발사장에서 정상 발사됐다고 밝혔다. 발사 4분까지 확인된 아리랑 위성의 궤적은 1, 2단 모두 정상 분리됐다.

 이번에 발사된 위성체의 최종 정상작동 여부는 해외지상국과의 1, 2차 교신(케냐의 말린디 및 노르웨이의 스발바드 지상국) 후 수신된 자료 분석이 끝나는 이날 저녁 7시께에야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또 다목적 실용위성 2호가 고도 685㎞의 운용궤도에 정상 안착했는지는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의 교신이 이루어지고 난 후인 이날 밤 자정께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대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운영센터에는 20여명의 연구원이 이날 밤 11시께에 있을 다목적 실용위성 2호와의 국내 첫 교신을 위해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1m급 해상도의 다중대역카메라(MSC)를 보유하게 됐다. 이 카메라는 국토 모니터링, 국가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환경 감시, 자원 탐사, 재해 감시 및 분석 등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리랑 2호는 발사중량 800㎏으로 별 추적기와 S밴드 안테나, 다중대역 카메라, 영상자료 전송 안테나, 태양전지판, 이차면경 방열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구상공 685㎞에서 적도를 남북으로 가르며(태양동기궤도) 하루 14.5바퀴씩 돌게 된다.

 러시아 발사장에서는 임상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홍창선 의원, 최영락 공공기술연구회 이사장을 비롯한 국내 관계자 30여명이 발사장면을 참관했다.

 한편 정밀 지구관측위성용으로 개발된 아리랑 2호는 지난 99년부터 2006년까지 7년 총 2633억 원이 투입됐으며, 과기부·산자부·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한 한국항공우주산업·대한항공·두원중공업·한화·두산인프라코어 등이 부품 개발에 참여했다.

플레세츠크(러시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