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방송위원회를 구성할 방송위원 9명이 확정적인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유력 인사가 지상파방송사 출신 일색이어서 향후 뉴미디어 정책이 ‘친 지상파 성향’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지적된다.
25일 관련 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현재 거론되는 방송위원 유력 후보는 청와대·열린우리당 추천 몫으로 이상희 MBC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을 비롯해 이춘발 지역신문발전위원장(전 KBS 기자), 성영소 전 대통령 정보통신특보(전 한국통신문화재단 이사장), 최민희 민언련 공동대표, 김동기 변호사, 임동훈 방송영상산업진흥원 이사장(전 목포MBC 사장·전 EBS 부사장) 6인이다. 한나라당 추천 몫으론 강동순 KBS 감사, 김우룡 한국외대 교수(전 MBC PD), 송석형 전 SBS 보도본부장 3명이 유력시된다.
현재 거론중인 유력 인사가 확정된다면 3기 방송위는 지상파 편향과 정치색 편중이 심해, 향후 방송정책이 균형을 잃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현직 지상파방송사 출신까지 포함돼 있어, 방송위가 지상파의 영향력 아래 있다는 비난도 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누가 유력하나=업계는 유력시되는 9인 가운데 2∼3인이 막판에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최근 언론노조·시민단체 등에서는 몇몇 후보의 전력과 성향을 문제 삼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심지어 병역 문제나 부동산 투기설까지 나오는 등 방송계 주변의 흠집내기가 심화되고 있다.
위원장으로 유력한 이상희 이사장은 나이(29년생)가 너무 많다는 지적도 있다. 상황에 따라 김근수 전 노사정 위원장, 유자효 현 SBS 라디오본부장 등도 등장할 인물로 꼽힌다.
◇친 지상파 뚜렷=문제는 3기 방송위원이 말 그대로 ‘지상파 일색’이라는 점이다. 방송시장은 최근 4∼5년간 지상파의 독주 아래, 케이블TV(SO·종합유선방송사)·위성방송·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등이 잇따라 자리를 잡으며 경쟁과 균형을 맞춰가는 중이다.
2기 방송위가 3년간 내린 주요 결정은 대부분 뉴미디어 관련 사항이었다. 향후 3년을 이끌 3기 방송위의 주요 정책은 △통신·방송 융합 정책 △지상파 및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 △지상파의 DTV 다채널 방송 △공시청망 문제 △PP 활성화 제도 등인데 지상파·SO·위성·PP·DMB 등 매체 간 이해 대립이 예상된다.
유력 9인 중 현직 MBC 방문진 이사장인 이상희씨를 비롯, 변호사·시민단체·통신전문가를 제외한 나머지 방송 전문가는 모두 지상파와 연관된 인물인 셈이다. 당초 방송정책 균형을 위해 ‘뉴미디어 출신 몫’으로 거론되던 유재홍 전 SO협의회장이나 유삼렬 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전 부산MBC 사장)을 거론하는 분위기는 크게 수그러들었다.
◇정책 연속성 결여=독립기관인 방송위는 방송위원이 바뀔 때마다 정책노선이 흔들릴 여지가 다분한 게 사실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 연속성 차원에서 2기 위원 중 1인 정도는 배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와대와 국회는 ‘정책 연속성’ 명분에는 동의하면서도 결국 유력 후보군에서는 2기 방송위원이 배제되는 결과가 됐다. 현재 표철수 2기 방송위 사무총장이 이런 명분 아래 마지막으로 방송위원에 들어올 변수로 언급되는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2기 방송위 결정 중 지역 지상파DMB 단일 권역은 3기 방송위가 꾸려지면 5∼6개 권역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3기 방송위원 9인의 최종 선임은 이번주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통신계 인사의 방송위 참여도 사실상 어려워진 상황에서 청와대의 결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 한 관계자는 “현재 거론되는 유력 인사를 확인해 줄 수는 없지만 예측과 똑같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3기 방송위원 유력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