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과학자들이 中企 도우미로 나선다

정부는 올해 국가출연 연구기관 등에서 선임급 이상 경력(약 10년)을 쌓은 뒤 퇴직한 과학기술자 100명을 ‘테크노 닥터’로 뽑아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사로 투입한다. 테크노 닥터 1인에 매월 200만원가량(기업부담 25%) 최장 3년간 지원하며 해당 과학기술자를 계속 활용할지는 수혜기업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과학기술부는 14일 산업자원부·기획예산처 협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퇴직 과학기술자 활용 중소기업 기술역량 확충사업’을 확정, 이달 ‘테크노 닥터 풀’을 만들어 9월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테크노 닥터는 매주 이틀(하루 8시간 근무 기준) 이상 기업현장에 근무하며 애로기술을 해결해주는 조건으로 계약하게 된다. 해당기업 연구능력만으로 해결하지 못할 때에는 테크노 닥터가 속한 학회 등을 활용해 ‘끝까지 해결하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과기부는 기업부설연구소나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에 올해 뽑을 테크노 닥터 100명을 우선 투입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 선발인원을 200명 규모로 확대하고, 사업이 정착되는 대로 기업연구소 근무 경력이 있는 연구원에게도 테크노 닥터로 활동할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지방대학 출신 퇴직 과학기술자를 테크노 닥터로 유인해 지방 균형발전의 밑거름으로 삼을 계획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민간연구소 종합 관리지원기관)는 산업기술재단 등과 함께 테크노 닥터 풀을 관리하고, 기업과 인력을 연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인터넷을 통한 상시 기술자문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그러나 한국과학재단(KOSEF) ‘전문경력인사 초빙활용사업’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로과학기술인 활용지원사업’으로 활동중인 퇴직 과학기술자 102명은 이 사업에 지원할 수 없다. 산자부 ‘산업기술지원단사업’ 수혜자 32명도 마찬가지다.

 과기부는 다만 퇴직 과학자 지원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해 시너지 효과를 끌어낸다는 취지에서 기존 지원사업을 통합하는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박항식 과기부 과학기술기반국장은 “기존 퇴직과학자 지원제도가 전문경력인사 초빙활용사업을 제외하고는 한시적 과제별로 실적급을 주는 형태로 운용돼 안정적이지 못했거나 현직 교수 위주로 지원됐다”며 “테크노 닥터제로 퇴직 과학기술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이 중소기업 생산현장에 제대로 투입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또 “국가출연연구기관 연구원 정년(61세)을 대학 교수 정년(65세) 수준으로 연장하는 효과, 일자리 창출에 따른 사회기여, 이공계 청소년 및 연구원 사기진작 등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