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업계 품질인증 바람 거세다

 국내 소프트웨어(SW)업계에 품질 인증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정부가 공공SW 프로젝트 사업자 선정 시 국가 공인 품질 인증을 받은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는데다 업체들의 품질 업그레이드 노력이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등 품질인증기관에 따르면 4월 말 현재 SW 품질 인증 및 국제공통기준(CC) 평가 인증 신청 업체와 제품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표적인 SW 품질인증제도인 굿소프트웨어(GS)는 인증을 획득하려면 적어도 세 달가량을 기다려야 한다. 정부가 GS 인증 우선구매제도를 시행하면서 공공SW 사업자 선정 시 GS 제품에 가산점을 부여함에 따라 인증을 획득하려는 업체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GS 인증기관인 TTA는 4월 말 현재 80여개 업체가 GS 인증 테스트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배가량 늘어난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신석규 TTA 센터장은 “현재 TTA 여건상 한 달에 20개 업체 정도의 인증이 가능하지만, 업체들이 밀려들어 휴일도 없이 인증센터를 가동중”이라며 “지금 GS 인증을 신청하면 서너 달 정도는 기다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안업계의 대표적인 CC 평가 인증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5월 정보보호 제품평가 대상이 방화벽 등 6개 보안제품에서 정보보호시스템 전 분야로 확대되면서 품질 인증을 받으려는 업체가 2배가량 늘어났다.

 CC 인증기관인 KISA에 따르면 지난해 5월까지 연 평균 25개 업체가 CC 평가 인증을 신청했으나 제품 확대 이후 지난해 6월부터 올해 4월까지 40여개 업체가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노병규 KISA 보안성평가센터장은 “평가 제품이 늘어나면서 기업들의 수요가 한꺼번에 몰려 업체 대기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품질 인증을 받으려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적지 않은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다. CC 평가 인증은 제품 수가 크게 늘어났는데도 KISA의 평가팀은 인원 확충 없이 제도 시행 전과 똑같이 운영, 인증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GS 인증도 업그레이드 버전마다 GS 인증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이 비용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익종·김인순기자@전자신문, ijkim·ins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