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DMB에 유통망 개방"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상파 DMB 협력, 대립구도

지상파DMB가 중계망 투자 재원 마련에 제조사를 끌어들인 데 이어 이통사 대리점을 이용한 유통망까지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SK텔레콤은 이통사의 지상파DMB폰 유통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정보통신부가 마련한 회의에서 유통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KTF와 LG텔레콤은 서비스 유료화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이 확보되지 못하면 유통에 나서지 않겠다는 방침이지만 SKT가 참여할 경우 동참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SKT는 최종 결정을 아직 내리지 못했다며 정확한 참여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고, 지상파DMB만을 탑재한 폰이 아닌 통합(지상파+위성)DMB폰을 도입하겠다는 속내여서 아직 안갯속이라는 평가도 있다.

 ◇이통사 유통망 확보 필수적=정통부는 제조업체가 비용을 부담해 지하중계망을 구축하면서 무료 서비스를 유지하는 방안으로 이른바 대타협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지상파DMB폰 유통에서 수익원을 찾을 수 없게 된 KTF와 LGT가 소극적으로 돌아서며 유통망 확보를 과제로 남기게 됐다.

 특히 지상파DMB 사업자들이 유통망 확보없이 타결에 동의하기 어려워 정통부가 필수요소인 이통사 유통망 확보에 확실한 대안을 마련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정통부 관계자는 “가입자들이 단말기를 교체할 때 무료 부가기능을 갖춘 DMB폰을 원할 것이기 때문에 이통사는 FM라디오 기능, 카메라 기능을 갖춘 폰을 유통하듯이 지상파DMB폰을 유통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또 “통합단말기를 전제로 볼 때 지상파DMB 기능 탑재가 오히려 위성DMB 수요를 늘리는 상호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어 이통사를 유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KT 유통망 개방, 왜?=KTF와 LGT는 수익모델 없이 유통망을 개방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SKT도 기존 데이터 매출을 감소시키고 위성DMB와 경쟁관계가 될 우려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KT가 개방키로 한 것은 위성DMB 유료모델과 지상파DMB 무료모델의 차별화를 못박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장윤식 SKT 상무는 “지상파DMB와 위성DMB가 유료화 모델로 출혈경쟁을 벌이면 둘 다 죽을 수 있다”며 “지상파DMB가 휴대폰에 기본 기능으로 탑재되면 유통시키지 않을 수 없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 매출감소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지상파DMB가 정책적으로 결정됐으니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티유미디어 관계자는 “지상파와 위성DMB가 상호 보완관계가 되기 어렵고 통합단말기도 높은 가격 때문에 시장성이 없다고 본다”며 부정적 의견을 밝혀 주목된다.

 ◇전망=SKT는 이날 회의에서 유통망 개방의 원칙을 밝혔지만 시점에 대해선 못을 박지 않았다. SKT 측은 또 (지상파+위성) 통합단말기가 나와 기본적으로 유통돼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여 지상파DMB폰보다는 통합단말기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12월 본방송 개시 시점은 물론이고 지상파DMB폰 출시 시점에 맞춰 유통망이 실제 개방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KTF, LGT 관계자는 “지상파DMB폰 유통을 위해선 비즈니스 모델이 마련돼야 하며 현재 구조로는 지상파방송사를 제외한 지상파DMB 사업자가 수익구조를 만들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정통부가 유료데이터 방송 수익모델을 발굴하겠다는 방침은 현재 표준기술도 마련되지 않아 가능성이 희박한 얘기”라며 일단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한편 중계망 구축에 이통사가 협력하는 부분도 이날 회의에서 진전을 보지 못했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