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콜센터 `러브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자체별 콜센터 규모

지역 고용 창출 및 경제 활성화 효과를 노린 지방자치단체들의 콜센터 유치전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대전·대구·광주 등 주요 지자체는 각 지역 대학과 연계한 콜센터 전문학과 개설, 기업유치촉진조례 개정을 통한 조세 및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게다가 수도권에 비해 저렴한 건물임대비·토지비용 및 현지의 풍부한 인력 등도 매력으로 작용, ‘콜센터 지방 분산’은 갈수록 확산될 전망이다.

 이로써 수도권에 집중돼 있던 대기업과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의 콜센터 탈서울화가 가속되고 있다. 특히 행정기관의 대거 이전이 예정된 대전은 콜센터 이전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콜센터 통한 지자체별 고용 창출 현황=지자체 가운데 대전시의 콜센터 유치 실적이 가장 뛰어나다. 국내 내로라 하는 대기업과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 20여개에 달하는 기관(총 4750석)이 지난 2001년 이후 꾸준히 대전에 둥지를 틀고 콜센터를 운영중이며, 대한통운(40석)과 한국전력(60석) 등 2개 기관이 오는 4월 신규로 대전에 진입한다. 이 가운데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철도청 등 기존 콜센터 기관들의 올해 증원인력만 해도 15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2월부터 국내 IT 대기업의 콜센터를 잇달아 유치하는 데 성공한 대구시는 콜센터 근무인력만 2500여명에 달한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2월 500석 규모의 영남권 콜센터를 연 데 이어 KT(450석)와 LG텔레콤(400석)도 각각 영남권과 대구·경북권을 관할하는 콜센터를 개소했다.

 광주시는 20개 기관에서 4150석 규모의 콜센터를 운영할 정도로 대기업 콜센터 유치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지난 2003년 삼성STS(400석)를 시작으로 스카이라이프(315석), LG카드(160석), 삼성전자(200석) 등의 콜센터가 잇따라 광주에 둥지를 틀었다.

 부산시도 최근 서울 소재 도미노피자 콜센터(600석)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자체 유치전 ‘점입가경’=대부분의 지자체가 콜센터 유치를 위한 기업유치촉진조례 개정을 서두르고 있다.

 올해 1500석 규모의 신규 콜센터 유치를 추진중인 대전시는 현재 투자금액 20억원 이상인 기업의 신규 고용 창출이 10명 이상일 경우 1명당 3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보다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지원 대상을 100인 이상 기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조세를 감면해 주는 등 콜센터지원조례를 개정한 대구시는 올 상반기 전국 콜센터 센터장 워크숍 개최에 이어 하반기에는 지방 최초로 콜센터 콘퍼런스를 열어 명실상부한 콜센터 메카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광주시는 고용인원 50명이 넘는 기업일 경우 고용보조금과 교육훈련보조금을 2억원까지 지원하는 기업유치전략을 펼치고 있다.

 부산시는 연말까지 30여개 기업(총 6000석)의 콜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대학 교수와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를 꾸린다.

 ◇콜센터 학과 개설 ‘붐’=이처럼 지방으로 밀려드는 콜센터 움직임에 대응해 지역 대학들도 콜센터 학과를 개설하는 등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대전에 있는 대덕대학은 올해 콜센터 전문학과 단기 교육과정을 개설한 데 이어 오는 2006년에는 정식으로 40명 정원의 주간 학과를 신설해 전문학사 커리큘럼을 개설한다는 구상을 세웠다.

 광주에서는 광주여대가 지난 2003년부터 콜센터 학과를 개설·운영중이며, 전남대 역시 콜센터 경영연구소 설치를 통해 콜센터 전문인력 양성에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국팀@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