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은 국민께 폐를 끼치는 기업이 아닙니다. 최근 국민께 심려를 끼쳐 드리고 있는 것은 조카의 상중에 불법적인 방법으로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정상영 명예회장 측의 비도덕적 행동 때문입니다.”
-현대엘리베이터 현정은 회장. 문제의 발단은 KCC 정상영 회장에 있으며 현대그룹의 명예와 정통성은 현대그룹 임직원이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음란·유해물이란 표현보다는 성인물이란 장르적 구분으로 불러줬으면 좋겠습니다.”
-김근태 한국콘텐츠산업연합회 회장. 모바일 콘텐츠분야의 가장 성공적인 수익모델이 성인물인데 관련산업을 오로지 비하시키려고만 하지 말고 산업적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조직 구성원간에 누구든지 한 마디만 하면 전체 구성원들이 열마디를 알아 들을 수 있는 팀워크를 갖춘 조직만이 경쟁력있는 조직이다.”
-김성수 한진정보통신 대표이사. 전 직원의 건의 사항과 애로사항 파악을 위해 무기명 e메일 건의서를 작성하라고 지시하며.
“삼성과 LG 등 한국제조업체들의 브랜드 인지도가 최근 1∼2년새 엄청나게 높아졌다. 소니만을 고집하던 소비자가 이제 삼성 제품을 선택하는데 주저함이 없다.”
―미국 전자제품 매장 ‘하비’의 세일즈 매니저 팀 소렌티노. 실리콘스트래티지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산 디지털TV가 이제 소니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영역다툼이 절대 아니다. 방송사와 정통부의 갈등에 대한 중재 역할을 할 뿐인데, 정통부와의 영역다툼으로 비쳐져 곤혹스롭다.”
-성유보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방송위가 최근 시군구 방송사 디지털TV(DTV) 방송국 허가신청 기한을 연기한 것에 대해 정통부가 월권행위라고 반발하고, 언론이 일제히 양 기관의 영역다툼으로 보도하자, 방송위는 방송국 허가추천 외에는 전송방식 결정에 대해 월권할 정책 권한이 전혀 없다면서.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3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4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5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6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7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8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
9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
10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