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LGT, 정통부에 `번호이동성제 차별규제` 공동 건의

후발사업자 재도약 기회…압박수위 더 높여

 이동전화 후발사업자인 KTF·LG텔레콤이 내년 1월 번호이동성 시행을 앞두고 ‘공동의 타깃’인 SK텔레콤에 대대적인 포문을 열었다. 특히 양사는 상호 마케팅 경쟁에 치중했던 종전과 달리 번호이동성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보완장치를 강도높게 촉구하는 전방위 압박작전에 나서 주무부처인 정보통신부의 입장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것만큼은 정책적으로 해줘야”=KTF와 LG텔레콤은 10일 후발사업자에 한해 단말기 보상기기 변경을 허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번호이동성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공동 건의문’을 정통부에 제출하고, 다각적인 제도 보완책을 공식 요구했다.

 두 회사는 건의문에서 가입자가 사업자를 전환할 경우 가장 큰 장애요인인 단말기 구입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후발사업자에 제한해 단말기 보상기변을 허용해달라고 주장했다. 또한 모든 사업자들이 도입하는 단말기 할부구매 제도도 SK텔레콤만큼은 폐지해야 마땅하며, 후발사업자의 자율적인 요금조정 범위도 현행보다 확대해 달라고 입을 모았다.

 또 LG텔레콤은 SK텔레콤 가입자들이 회사를 바꾸기를 꺼려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기존에 적립한 마일리지의 폐기문제라고 보고 011 고객의 019 전환 가입시 이마져도 고스란히 인수하겠다는 강수를 들고 나왔다.

 LG텔레콤 이상민 상무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도입목적이 유효경쟁 환경조성에 있다면 이용자의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여건이 절실하다”면서 “단말기 구입비용 부담이나, SK텔레콤의 막강한 마케팅 파워를 고려할 때 이같은 보완책은 실질적인 정책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통부, “신중히 검토하겠다”=양사의 이같은 정책건의에 대해 정통부는 일단 ‘판단유보’를 표명한채 보다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번호이동성은(편법이 아닌) 법과 원칙대로 시행할 것이며, 공동 건의문의 현실성과 타당성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면서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할 것인지 여부를 이번주중 공식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당치 않은 요구”=KTF·LG텔레콤의 집단행동에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곳은 역시 당사자인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양사의 공동 건의문 내용은 한마디로 SK텔레콤 가입자를 그냥 떼어달라는 얘기나 다를 바 없다”면서 “고객의 편익은 무시한채 자사의 이익에만 혈안이 돼 있다는 점에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꼬집었다.

◇LG텔레콤·KTF,“전방위 압박은 계속된다”=번호이동성 시행을 사업 재도약의 절호의 찬스로 보고 있는 LG텔레콤은 정책건의외에도 10일부터 사흘간 SK텔레콤을 겨냥한 대규모 신문광고전에도 나서,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LG텔레콤은 번호이동성 시행을 앞두고 최근 SK텔레콤이 비신사적인 마케팅 행태를 보였다며 공정경쟁을 주장하는 내용의 신문광고를 사흘 연속 게재할 예정이다. LG텔레콤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SK텔레콤이 자사 고객정보지에서 LG텔레콤 요금제를 의도적으로 비방하고 통화품질도 폄하하는 등 잘못된 행태를 저지르고 있다”면서 “번호이동성 제도에 대해서도 그릇된 정보를 알리며 정부의 번호정책을 깎아내리는데 급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KTF·LG텔레콤 등 후발 이동전화사업자들이 정책건의나 여론몰이를 통해 SK텔레콤을 공격하고 나선데는 현재의 시장분위기나 마케팅 여건상으로는 내년 1월 번호이동성이 시행되더라도, 뚜렷한 실익을 얻기 힘들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정통부 관계자는 “번호이동성은 국민과 시장공정경쟁을 위한 것이지 후발사업자를 달래주기 위한 정책이 아니다”라며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가운데 정책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