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부조금?`

 ‘중소 협력업체 정보화, 대기업이 나섰다.’

 정보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협력업체에 대한 대기업의 자금지원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특히 협업생산 및 공급체계가 기업정보화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나타나는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LG전자는 최근 정부의 중소기업IT화사업을 통해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는 협력업체들이 경기침체로 기업분담금 투자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판단 아래 협업적IT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비용의 30∼40%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지역 최대 자동차부품 업체인 삼립산업도 자사 협력업체 24개사에 정보화 관련 자금을 지원, 정부의 협업적IT화 사업을 통해 협업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여주기로 결정했다. 삼립산업은 투자비용의 30∼40%선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 놓은 상태로 약 5억원 정도를 부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대기업들의 협력업체 정보화지원계획은 기업정보화가 성숙단계에 들어서면서 수년내에 협력업체인 중소기업의 IT화 결핍이 생산 및 공급체계를 포함하는 자사 e비즈니스화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또 지금은 경기악화로 정부의 협업적IT화 사업에 기업들이 적극 지원하지 않고 있으나 조만간 경기가 되살아나 IT투자 붐이 확산되면 정부 지원사업과 연계해 협업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도 갖기 어려울 것이라는 현실적인 상황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협업적IT화 사업은 기업들이 기업간 협력생산 및 공급시스템을 구축할 때 구축비용의 50%를 중소기업에 지원해주는 것이다.

 협업적IT화사업의 주를 이루는 모델은 모기업과 협력업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모기업은 자체 부담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소기업은 구축비용의 절반은 자사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경기침체로 중소기업들의 자사부담금 투자에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모기업이 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산자부도 이를 반영해 최근 ‘구축비용의 50%는 중소기업이 부담해야 한다’는 조건을 수정해 모기업 지원을 인정했다.

 중소기업의 부담을 모기업이 일부 대신하는 이같은 추세에 대해 산자부측은 “협업적IT화가 모기업과 협력업체간 단절없는 업무추진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협력업체인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모기업이 나서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같은 노력은 IT강국 건설의 관건인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앞당기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