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중심 제약기업 순익의 93% 연구개발에 투자

 국내 제약기업 679개 중 연구개발 중심 기업군에 속하는 48개 기업이 순이익의 93%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수치는 선진 다국적 제약사들과 비교해 R&D 투자 규모 면에서는 열세한 입장이나 순이익의 93% 가량을 R&D에 투자함으로써 순이익대비 R&D투자비중이 세계 상위 10대 제약사(64.9%)를 능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약연구조합은 27일 국내 의약품시장 매출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48개 제약기업들이 매출액 대비 평균 6.2%의 순익을 창출하고 매출액의 5.7%를 R&D에 투자한다고 조사결과를 밝혔다.

이들 기업은 우리나라 신약개발사업을 주도하면서 지난 87년부터 신약개발에 착수해 총 384개 과제를 수행했다. 이들은 미국 FDA 신약 승인, 7건의 국내용 신약 승인 및 출시, 19건에 달하는 기술수출과 미국 FDA임상허가 획득 등 연구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 384개 신약개발사업 추진결과 성공적으로 추진되었거나 추진중인 과제가 99개 과제로 전체수행과제의 26%가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성공한 신약 7건은 개발에 평균 8.9년이 소요됐으며 평균 106억원 투자비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 신약은 평균 2년에서 8년이 소요되고 11억원에서 15억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글로벌 신약은 최소 3000억∼4000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대책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연구조합은 분석했다.

 연구조합은 이들 기업의 주요 99개 과제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사업화 직후 예상되는 경제적 기대효과는 △국내 매출 연평균 9300억원 △해외매출 연평균 7조5000억원 △예상수익 연평균 1조3000억원 △수입 대체효과 연평균 8700억원으로 전망했다.

 연구조합 관계자는 “국내 제약기업들의 연구개발 투자는 결코 인색하지 않으며 오히려 연구개발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연구개발 중심제약기업군을 기존 제약산업에서 별도 분리해 별도의 약값 및 조세우대 등 지원책과 육성책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