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벤치마킹]지포스FX 3종-제품 리뷰

 ▲지포스FX 3종 - 모델별 규격

 구분 FX5800 FX5600 FX5200

 제조공정(μ) 0.13 0.15 0.15

 트랜지스터 집적도(만개) 12500 8000 4500

 코어클록(㎒) 500 350 325

 메모리 클록(㎒) 500 350 325

 메모리 인터페이스 128비트 128비트 128비트

 메모리 타입 DDR Ⅱ DDR DDR

 AGP 8배속 8배속 8배속

 다이렉트X 9.0 9.0 9.0

 셰이더 파이프라인 수 8 4 4

 버텍스 셰이더 2.0 2.0 2.0

 픽셀 셰이더 2.0 2.0 2.0

 Z축 압축 O O X

 컬러 압축 O O X

 

 ▲MSI, 지포스FX 5800

 MSI가 공급하는 고성능 그래픽카드다. 전체적으로 이전에 나왔던 ‘지포스 Ti 4600’과 길이는 비슷하지만 두께는 AGP 슬롯은 물론 다른 슬롯 자리를 하나 더 차지할 정도로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

 제품의 특징으로 그래픽카드 위에 열을 식히는 방열판을 모두 구리 재질로 만든 것이 눈에 띈다. 구리는 열 전도율이 402W/mK로 흔한 방열판 재료인 알루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 일부 고급제품에 사용되는 재질이다. 이 제품이 장착하고 있는 구리쿨러는 모양도 독특하다. 단순히 GPU를 덮는 형태가 아니라 일종의 히트파이프 구조로 열을 바깥으로 효율적으로 방출하도록 돼 있다. 이는 역설적으로 얼마나 많은 열이 발생하는지를 알려준다.

 지포스FX5800은 약 60W의 전력을 소모하는데 이는 AGP 슬롯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30W의 2배에 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품은 따로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갖추고 있다. 제품이 100%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사용해야 한다.

 이 제품은 또 이전 Ti시리즈와 마찬가지로 DVI나 D-Sub 등의 출력을 위해서 실리콘이미지사의 SIL164CT64 칩을 사용하고 있다. TV 인코딩을 위한 별도의 칩은 필요치 않으며 1600×1200의 해상도를 쓸 수 있어 좋다.

 그래픽카드로는 처음으로 DDR Ⅱ를 사용했다는 점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 제품은 기준치인 2.5㎱보다도 빠른 2.48㎱의 메모리를 쓰고 있는데 용량은 4MB×32로 총 128MB다.

 

 ▲슈퍼마이크로, 플래티넘 지포스FX 5600

 국내 제조업체인 슈퍼마이크로가 출시한 제품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Ti4200의 대체모델로 볼 수 있다.

 기술적으로 살펴보면 FX5800에 비해 셰이더 파이프라인 수를 절반으로, 트랜지스터 수를 8000만개 수준으로 각각 줄이고 메모리도 DDR를 채택했다. 또 제조공정을 FX5800과 같은 0.13μ을 쓴다는 것을 감안하면 350㎒의 클록속도도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단지 다이렉트X 9.0과 오픈GL 2.0 여기에 AGP 8배속 등이 FX5800과 같을 뿐이다.

 FX5600은 주류 제품이어서 제조사마다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 제품은 이 점에서도 독특하다. 우선 쿨러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지 지포스4 Ti 4200 AE’에서 선보였던 이른바 신바람 라이트 쿨러와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FX5600은 분명 고성능 그래픽카드여서 발열량이 많지만 결코 앞뒤로 쿨러를 달아야할 정도는 아니다.

 회오리바람처럼 독특하게 디자인된 쿨러는 작동할 때는 고휘도 LED로 강한 푸른빛을 쏴주어 여름에 보면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을 듯 싶다. 그러나 아무래도 두 개의 쿨러를 쓰는 탓에 소음은 심한 편이다.

 FX5600은 DVI 출력을 위한 칩은 필요하지만 TV 아웃을 위한 칩은 필요치 않다. 또 하나 눈에 들어오는 것은 간략한 전원부로 비교대상인 Ti 4200에 비해 단순화됐다.

 엔비디아는 FX5600 역시 울트라와 기본모델을 모두 선보일 예정이지만 당연히 무게중심은 FX5600 울트라에 두고 있다.

 

 ▲시그마컴, 지포스 FX5200

 국내 제조업체인 시그마컴이 공급하는 보급형 그래픽카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MX440’을 대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FX5200이 0.15μ 공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0.13μ 공정의 FX5800이나 FX56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율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제품은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FX시리즈의 기본적인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는 것과 특히 다이렉트X 9.0을 쓸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FX5200은 기술적으로는 FX시리즈이기는 하지만 보급형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는 칩세트다. 따라서 메모리 대역폭을 관리할 때 Z축 압축과 컬러 압축기술을 쓰지 않는다. 당연히 FX시리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인텔리샘플도 쓸 수 없다. 트랜지스터 역시 FX시리즈 가운데 가장 적은 4500만개 수준이며 제조공정 역시 0.15μ이다. 따라서 이런 보급형의 모습을 하고 있는 시그마컴 지포스 FX5200에서 FX시리즈의 화려함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전원부 설계 역시 이런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 제품은 전체적으로 FX5800의 절반 정도의 대역폭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3D에서는 크게 뒤짐이 없지만 본격적인 셰이더 기능에는 제약이 많다.

 참고로 FX5200 역시 울트라와 표준 모델로 나뉘어 선보일 예정이지만 제품 성격을 생각하면 울트라모델보다는 표준 모델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