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 발급제도 개선 시급

인터넷 증권거래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공인인증서 의무발급제도가 시행 한달여가 지났음에도 인증서 호환 문제 등으로 이용자가 여전히 불편을 느끼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인인증서 발급업체 등에 따르면 지난달 1일 공인인증서 의무발급제도가 전격 시행된 이후 지난달말까지 인터넷 증권거래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전체 인터넷 증권거래 이용자 250만명의 90%에 해당하는 222만 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공인인증제도가 의무제 도입으로 당초 상당수의 사용자가 이탈할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외형적으로는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사용환경이나 소비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무제를 전격 시행함으로써 갖가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한다.

 실제 윈도 운용체계를 제외한 리눅스나 매킨토시 시스템에서는 아예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없으며 공인인증서 간에 호환이 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중복해서 인증서를 발급받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증권사들이 인증서 발급으로 트래픽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시스템 증설을 고려하지 않은데다 증권사 객장에 설치된 시스템에서 휴대장치에 저장된 인증서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등 증권사 편의 위주의 제도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공인인증 솔루션 업계에서는 “리눅스나 매킨토시 사용자를 배려하려면 인터넷 증권거래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는 증권사들이 고객 서비스를 높이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며 상호 연동이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문제는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인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