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이라크 특수 IT업체 선점 경쟁

`전후 이라크시장을 선점하라.’

 아직 전쟁 초기인데도 불구하고 전후 이라크시장을 먼저 차지하려는 건설부문 등 각 부문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인프라부문에서는 이미 선점경쟁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IT부문도 예외는 아니다.

 익지도 않은 파이를 자르려는 시도는 미국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이라크 재건사업을 위해 자국의 7개 업체와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주요 연구기관들이 보고 있는 미국의 이라크 점령 후 소요되는 복구비용은 향후 10년간 250억∼1000억달러. IT업체들은 도로·항만·공항 등 이라크의 사회간접자본시설 복구에 필수적인 컴퓨터·통신인프라 같은 IT장비 수요에 입맛을 다시고 있다. 이들은 TV·냉장고·에어컨·휴대폰 등 생필품화돼 있는 각종 기기의 수요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가운데 국가·지역간 알력도 표면화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비밀서류가 많다”는 이유로 포스트 이라크 입찰에 자국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유럽 등의 기업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유럽 IT업체의 한 관계자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라크 경제를 연구하기 위해 특별팀(태스크포스)을 결성한 상태며 이라크 복구에는 IMF와 세계은행의 자금지원이 필요한 상태인데, 미국이 자국 기업만을 대상으로 입찰을 제한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유럽 업체 외에도 일본과 대만 등 다른 나라 IT업체들의 포스트 이라크 특수 대응도 만만치 않다. 지난 91년 걸프전 당시 무전기 등을 대량 수출해 짭짤한 재미를 본 대만 전자업체들은 이번에도 전자제품에 대한 특수가 있을 것으로 보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일본 IT업체 관계자의 전언에 따르면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중동 최대 무역도시 두바이에는 물론 전후시장을 겨냥한 상인들이 속속 집결하고 있다. 이들은 전쟁 후에 있을 이라크의 빅 비즈니스를 노리고 있다.

 두바이에는 현재 미국을 포함해 112개국 2350개 회사가 거점을 두고 있으며 이미 시작된 이들의 움직임은 뜨거운 사막을 더욱 달아오르게 하고 있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