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정보보호]네트워크 보안-새로 뜨는 솔루션

 올해 정보보호 솔루션과 서비스 시장의 화두는 ‘침입방지’ ‘통합관리’ ‘기가비트’ 등으로 요약된다. 최근 2년간 지속된 이 화두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로 인해 그동안 뚜렷하게 주류에 서지 못하고 변죽만 올렸다. 그러나 올해는 사정이 다르다. 성숙도 측면에서 활성화 시기를 맞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중반까지 관련 분야의 소수 업체만이 자리를 지켰으나 이제는 많은 국내외 보안업체들이 대거 진출했으며 이제는 선두다툼을 위한 경쟁이 치열할 정도다.

 ◇IPS 및 서버보안=1·25 인터넷 대란 이후 가장 주목받는 솔루션이 바로 침입방지솔루션(IPS)이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IPS 전문업체는 이카디아가 사실상 유일했으나 하반기부터 외국계 업체인 탑레이어, 넷스크린, RSA 등이 뛰어들었으며 국내업체로는 조은시큐리티, KDDS 등이 제품 개발에 착수하는 등 올 상반기에는 IPS 열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지난해말부터 외산과 국산의 격돌로 관심을 끌고 있는 서버보안 분야도 올해 본격적인 개화를 예고하고 있다. 서버보안 시장은 선두권을 줄기차게 유지하고 있는 외국계업체인 한국CA를 비롯해 올해 선두탈환을 목표로 삼고 있는 시큐브와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는 티에스온넷, 시큐브레인 등 국내업체들도 선전을 하고 있다.

 ◇통합보안관리(ESM)=이 시장은 올해 가장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분야다. 지난해까지 이 분야에서는 마크로테크놀러지, 인젠, 이글루시큐리티, 윈스테크넷, 어울림정보기술, 시큐아이닷컴, 넷시큐어테크놀러지 등이 경쟁을 벌여왔으나 올해들어 코코넛, 카포넷 등 관제서비스 업체가 그동안의 서비스용으로 제공하던 노하우를 바탕으로 ESM 시장에 뛰어들어 춘추전국 시대를 맞을 전망이다.

 ◇통합보안과 기가비트화=지난 2001년부터 어플라이언스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지난해에는 각종 보안솔루션을 통합화한 통합 제품이 업계 주류로 떠올랐다. 지난해 방화벽, VPN 제품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여기에 방화벽이 포함된 제품이 등장했으며 외국계 업체를 중심으로 각종 네트워크 보안솔루션에 앤티바이러스, 앤티스팸 등이 모두 포함된 어플라이언스 종합솔루션들이 선보이면서 궁극적인 ‘원스톱’ 솔루션을 지향하고 있다.

 속도 경쟁도 만만치 않다. 인터넷 대란 이후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기가비트 솔루션에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지난해에 이어 방화벽, IDS 분야에서의 기가비트 경쟁은 가속될 전망이다. 방화벽의 경우 10기가비트대의 초고속 처리능력을 가진 제품들이 상반기내에 잇따라 등장할 것으로 보이며 IDS의 경우 1기가대 제품들이 주종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