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제특구 확대.총량제완화 건의

 수도권이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계획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한 가운데 서울시는 ‘금융중심지’, 인천시는 ‘경제자유구역’, 경기도는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각각 발전전략으로 제시할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서울·인천시와 경기도는 6일 오후 인천공항에서 이같은 내용의 발전전략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는 이를 위해 인천지역 중심의 경제자유구역을 일부 확대하고 공장총량제 등 억제 위주의 수도권 규제를 합리적으로 완화해줄 것을 건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에 따르면 서울시는 동북아 국제금융 중심지 육성이라는 발전목표를 정하고 청계천 도심-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여의도 증권가를 삼각축으로 잇는 금융중심지를 개발하는 계획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서울국제경제자문단(SIBAC)과 외국인투자자문회의(FIAC)를 창구로, 적극적인 투자유치에 나서고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금융분야 투자환경과 관련제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정비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디지털미디어센터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건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적극 육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수원은 무선인터넷·나노·바이오 △성남은 벤처단지 △안양은 지식산업센터 △안산은 테크노파크 △부천은 문화콘텐츠 등으로 신기술산업 테크노밸리를 구축하는 방안을 보고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또 파주·김포 일대에 300만평 규모의 남북협력 배후단지와 70만평 규모의 남북경협 산업단지를 개발하고 고양을 한국국제전시장과 연계한 국제 비즈니스 중심지역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를 위해 IT·BT·NT 등 지식기반 산업을 수도권공장 총량제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고 첨단 대기업의 신·증설 규제를 완화해줄 것을 건의하는 한편 외국인투자 선호지와 전략산업 클러스터를 ‘규제자유지역’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는 올 7월부터 시행될 경제자유구역 계획에 따라 송도지역을 ‘정보화신도시’, 영종·용유·무의지역을 인천공항을 지원하는 ‘물류산업·국제관광단지’, 김포매립지를 ‘국제레저산업·화훼단지’와 ‘국제금융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송도 정보화신도시에 경제특구 개발업체인 미국 게일사와 함께 ‘국제비즈니스센터’를 조성, 세계적인 IT기업인 시스코의 아시아본부 등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본부를 유치하고 ‘첨단바이오단지’와 송도테크노파크를 개발할 방침이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