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간판업종 `물량`위주 수출구조 못 벗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T산업의 고부가가치화지수 추이

 정보통신·반도체 등 한국의 간판 수출업종이 외환위기 이후 기술·품질보다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물량수출’에 더 주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외환위기 전후 수출구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통신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조선 등 국내 6대 산업의 가격경쟁력은 외환위기 전보다 좋아졌으나 비가격부문, 즉 질적 측면에서의 수출경쟁력은 오히려 낮아졌다.

 수출제품이 생산단가에 비해 얼마나 비싸게 팔리는지를 평가하는 ‘고부가가치화지수’에 있어 반도체의 경우는 외환위기 직전인 97년 0.7에서 작년 상반기 0.27로 급감했다. 정보통신도 0.75에서 0.4로 떨어졌다. 전체적으로 97년 0.7∼0.87 범위에 있던 6대 주력수출업종의 고부가가치화지수는 작년 0.27∼0.62 수준으로 동반하락했다. 표참조

 반면 1에 가까울수록 가격경쟁력이 우위에 있음을 나타내는 ‘무역특화지수’에서는 조선이 95년 0.56에서 작년 10월 기준 0.96으로, ‘정보통신’은 0.12에서 0.38로 각각 높아졌다. 연구원은 이 같은 변화를 외환위기 이후 대다수 업종에서 수출단가 하락을 통한 수출규모 늘리기에만 주력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정희식 연구위원은 “종합적으로 정보통신·조선·자동차 등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에 있으나 고부가가치화지수는 여전히 1보다 작아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반도체의 경우는 무역특화지수마저 7년 새 0.34포인트나 떨어져 가격경쟁력에서도 크게 위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 같은 수출주력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신규 수출시장·틈새시장 개척 △적극적인 자유무역협정 체결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