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2002-제16대 대통령선거]전자개표가 성능 문제 도마위에 올라

 제16대 대통령선거를 눈앞에 두고 전자개표기가 도마위에 올랐다.

 한나라당은 17일 제16대 대통령선거 개표과정에서 사용될 전자개표기에 의한 개표 및 공표 방식의 보완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전자개표기 시연과정에서 400여장의 투표용지 가운데 4% 수준인 18장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해 ‘미분류’로 처리되자 전자개표의 신뢰성에 의문을 표시해 왔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내부에선 개표의 ‘전면 수작업화’ 주장도 제기됐으나 선거에 임박해 개표사무원 충원 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사람에 의한 보완’으로 요구 수준을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안상수 부정선거방지본부장과 서정우 후보 법률고문은 이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이날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를 찾아 전자개표기 재시연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나라당측은 “미분류 과정에 오류가 밝혀진 만큼 미분류 투표용지를 유·무효로 재분류하고 이미 분류된 투표용지에 대한 재검표까지 마친 후 개표결과를 공표할 것”을 요구했다.

 선관위는 ‘미분류’ 투표용지에 대한 재검표는 뒤로 미룬 상태에서 일단 후보자별로 분류된 투표용지만 갖고 후보자별 득표수를 자체 통신망을 통해 언론과 인터넷 등에 공표할 방침이었다.

 한나라당은 또 18일 전국 244개 개표소에 설치되는 960대의 전자개표기와 이에 연결된 컴퓨터에 대해 19일 개표작업 전까지 봉인 및 보안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안상수 본부장은 “수작업에 의한 개표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사람으로 하여금 전자개표기를 보완토록 하자는 것”이라며 “당 내부 논의에서 시연회 결과를 종합한 뒤 오류를 시정할 수 있는 방안을 선관위측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한나라당의 방침이 정해진 뒤 개표결과 공표방식에 관한 최종 방침을 결정할 것”이라며 “이 정도 요구라면 결국 개표가 30여분 가량 지연될 뿐이어서 별다른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측의 이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민주당 이해찬 기획본부장은 “전자개표기는 IT로 따지면 극히 초보적인 단계인데 은행에서 돈세는 기계도 못 믿겠다면 은행에 돈을 어떻게 맡기느냐”며 “그것조차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자세로 어떻게 IT강국을 이끌어 가겠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전자개표기는 지난 6·13지방선거와 8·8재보선에서 650대가 투입돼 활용됐으며 개표과정에서 일부 기술적인 문제가 나타났으나 개표결과의 오류는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대선특별취재팀>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