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요·케미콘·NEC·히타치 등 일본의 콘덴서 생산업체들이 주도해온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에 국내 콘덴서업체들이 출사표를 던지며 한판승부를 꾀하고 나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화전기·파츠닉·삼영전자 등 주요 업체들은 유기반도체, 전도성 고분자 등 고체전해질을 핵심소재로 활용한 고분자 재질의 고체콘덴서·탄탈콘덴서 등을 잇따라 개발, 양산설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일본업체들이 독주해온 첨단기술의 콘덴서시장은 한일전의 성격을 띠기 시작하면서 상당한 수입대체효과와 전자제품의 가격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삼화전기(대표 서갑수 http://www.samwha.co.kr)는 2년 동안의 연구개발 끝에 유기반도체 재질의 고체전해콘덴서(모델 아프로캡)를 기존 820㎌(4∼16V)에서 1800㎌(2∼25V)로 용량과 전압을 대용량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기반도체 재질인 대용량 고체전해콘덴서는 일본 산요와 케미콘이 전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특히 필름콘덴서·알루미늄콘덴서 등보다 주파수와 온도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전해질의 변화가 없어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인 우수한 부품이다.
삼화전기는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월 100만개의 양산설비를 구축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2배 늘어난 월 200만개의 양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유기반도체 전해콘덴서의 특성에 적합한 폐쇄회로(CC)TV와 통신장비,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 모니터 등의 시장을 집중 공략해 내년 시장의 20% 이상을 점유할 계획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
이 회사는 또 전도성 고분자 재료를 사용한 칩 형태의 고체콘덴서를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가기로 했다.
파츠닉(대표 박주영 http://www.partsnic.co.kr)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탄탈콘덴서 ‘TK 시리즈’를 개발, 내년 1월부터 월 100만개의 양산설비를 구축, NEC·히타치 등 일본이 선점해온 전도성 고분자 재질의 탄탈전해콘덴서 시장공략에 나서기로 했다.
이 제품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탄탈콘덴서의 전해질로 사용해 제품 성능의 주요 척도인 등가직렬저항(ESR)치를 기존 탄탈콘덴서 대비 10분의 1로 감소시켜 고주파·저전력의 소비가 요구되는 전자제품에 적합하다.
특히 이 회사는 일본의 선두업체들이 미처 개발하지 못한 휴대폰·PDA 등 틈새시장을 겨냥한 전도성 고분자 탄탈콘덴서를 집중 양산, 전도성 고분자 탄탈전해콘덴서 시장에서 일본의 아성을 완전히 무너뜨린다는 전략이다.
삼영전자(대표 변동준 http://www.samyoung.co.kr)도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적용한 칩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고체콘덴서를 개발, 내년 하반기부터 월 100만개씩 양산할 계획이다.
또 현재 개발중인 레이디얼 리드(radial lead) 형태의 고체콘덴서 양산에 착수한다고 밝혀 고부가가치 콘덴서 시장을 놓고 내년부터 한일 업체간의 시장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2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3
삼성전자, 스마트폰 위탁생산 '탈중국' 가속
-
4
“美 트럼프 행정부, TSMC에 '인텔과 협업' 압박”
-
5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6
LG엔솔, 회사채 1조6000억 중 70% 북미 투입
-
7
“브로드컴, 인텔 반도체 설계 사업 인수 검토”
-
8
삼성전자·LG전자, 상업용 사이니지에 'AI 기반 타깃 광고' 새바람
-
9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법인 매각 속도…현지 업체 인수의향서 제출
-
10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 변경·지급 연기 추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