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즌 10명 중 8명 이상이 고스톱이나 포커 등 사행성 사이트에 접속한 경험이 있고, 절반 이상이 인터넷 고스톱이나 포커는 시간때우기용일 뿐 도박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신문사와 온라인 리서치 전문업체인 엠브레인(대표 최인수 http://www.embrain.com)이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전국 13세 이상 59세 이하 인터넷 이용자 2300명(남녀 각 1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행성 사이트 이용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2.7%가 인터넷 고스톱이나 포커 등을 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를 성별로 보면 남성이 85.7%로 여성(79.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나이별로는 20대(90.0%), 직업별로는 자영업(91.1%)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게임에 소비하는 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유경험자(1902명) 중 58.9%가 ‘월 1회 미만’이라고 답했으나 ‘매일 1시간 정도’(25.0%), ‘하루 30분 이내’(12.0%)라는 대답도 많았다. 특히 거의 하루종일 게임을 한다는 응답자도 0.5%에 달했다.
인터넷 고스톱이나 포커 등의 게임을 위한 금전적 지출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유경험자(1902명)의 78.2%가 ‘구입 경험이 없다’고 답해 대부분의 네티즌은 게임을 단순히 즐기는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터넷 고스톱이나 포커를 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시간때우기’라는 대답이 61.1%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외의 응답으로는 ‘무의식적으로’(9.7%), ‘채팅이나 친교를 위해’(6.9%), ‘짜릿한 느낌을 위해’(10.6%) 순이었고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응답도 3.5%에 달했다.
한편 인터넷 고스톱이나 포커를 도박으로 인식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2300명)의 55.6%가 도박이 아니라는 견해를 보였다. 특징적인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도박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커지는 반면 학생들의 경우 61.8%가 도박이 아니라고 응답해 인터넷 포커나 고스톱에 긍정적인 견해를 보여줬다.
<이규태기자 ktlee@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
10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