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케이블TV 정책 어디로 가나

디지털 케이블TV 표준화문제를 둘러싼 정보통신부와 도입주체인 종합유선방송국(SO)간 갈등이 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케이블TV협회 SO협의회는 12일 △수신자제한시스템(CAS)이 내장된 셋톱박스 도입 허용 △디지털 데이터방송 표준인 OCAP 준수 강제화 규정 수정 △CAS를 내장한 POD(Point Of Deployment) 분리형 제품과 OCAP 개발시 공인된 기관의 인증과 충분한 필드테스트 필요 △추가 기술표준 검토 및 선정시 세계표준 준수 △현재 가전업체·연구소·학계 위주로 구성된 케이블TV 관련 각종 표준 및 기술 협의체에 SO·디지털미디어센터(DMC) 인력 참여기회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한 건의서를 정통부에 공식 제출했다.

 SO협의회의 공식 건의문 전달은 디지털케이블TV 투자 주체들이 정통부의 지금까지의 표준화정책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전제아래 공식적으로 이의제기를 하고 나섰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정통부는 최근 POD분리 의무화 규정을 유예하는 것으로 사업자에 한발 양보했지만 국가표준으로 정한 오픈케이블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CAS를 내장한 셋톱박스까지는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었다.

 SO협의회측은 “지금까지 혐회차원의 공식대응에 앞서 정통부와 협의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상황이 그러하지 못해 공식건의문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SO협의회측은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조기상용 서비스를 위해 POD분리 의무화 정책을 유예함과 동시에 CAS 내장형 셋톱박스 도입을 허용해야 한다”며 “CAS를 내장하지 않은 셋톱박스를 통한 디지털방송 서비스는 유료방송인 케이블TV사업에서 전혀 의미가 없다”는 밝혔다.

 협의회 관계자는 “향후에도 오픈케이블 방식을 기반으로한 POD 분리형 셋톱박스와 일체형 셋톱박스의 병행으로 사업자와 가입자의 선택의 폭이 오히려 넓어진다”며 “현재 POD와 OCAP 등 어느 하나 개발된 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기다릴 수 없으며 제품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검증된 제품이 아니라면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유병수기자 bjor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