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추적서비스 로열티 `쟁점`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온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기술료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F·SK텔레콤·LG텔레콤 등 이동통신사업자 3사가 올해부터 LBS 상용화에 본격 나서면서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퀄컴의 기술료 공세도 잇따를 전망이어서 민관 공동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동통신사업자 가운데 KTF는 이미 지난 2월부터 퀄컴의 자회사인 스냅트랩으로부터 LBS용 위치추적기술(PDE:Position Determination Entity 또는 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솔루션인 ‘GPS 원’을 채택하고 있다. 또 내달 서비스 개시를 앞둔 SK텔레콤도 GPS 원을 채택키로 했으며 연내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는 LG텔레콤 역시 GPS 원 도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LBS가 본궤도에 오를 경우 GPS 원을 채택한 장비공급업체와 이동통신사업자들이 CDMA에 대한 로열티 외에 LBS 부가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퀄컴 측에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여 퀄컴에 대한 기술종속 문제가 또 한번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GPS 원의 국내 공급자인 네오링크 측은 “라이선스 비용은 자체개발한 하드웨어 부문을 제외한 코어 엔진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확한 금액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사업자별 세션베이스(동시접속자수 기준)로 책정돼 장비 구입가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부와 관련업계는 퀄컴의 CDMA 원천기술에 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온 상황에서 부가서비스를 위해 또다시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와 WTI 등이 위치추적기술을 개발중이지만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미 상용서비스용 장비구입 및 네트워크 구축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한 점을 감안할 때 대체기술이 개발되더라도 당분간 기술방식을 교체하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구나 퀄컴이 관련 핵심기술에 대해 우선적으로 특허권을 행사하는 만큼 국산기술의 가격 경쟁력이나 시장 대응이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LBS업계 한 관계자는 “대체기술이 개발되더라도 CDMA 핵심칩과 호환이 불가피하고 이 경우 원천 기술 특허를 보유한 퀄컴과의 특허권 분쟁 소지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LBS 이용자의 위치를 계산해 주는 GPS 원은 GPS기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장점을 혼합한 것으로 위성 신호가 잘 잡히지 않는 지역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이밖의 지역에서는 위성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솔루션이다. 셀(cell) 방식 등 종래 위치추적기술은 오차 범위가 최대 10㎞나 되고 이동단말기가 위성으로부터 직접 대용량 데이터를 내려받아야 하는 부담이 따르는 반면 GPS 원은 단말기가 해온 모든 위치추적기능을 중앙센터와 단말기로 분산, 데이터 분석값만을 단말기나 인터넷으로 피드백하므로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GPS 원을 개발한 스냅트랙(http://www.snaptrack.com)은 지난 2000년 퀄컴이 100만달러를 들여 인수한 위치추적 전문 자회사로 퀄컴이 100% 지분을 갖고 있다.

 <조윤아기자 forang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