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월드컵이다>(2)한국을 아시아 IT거점으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아시아 주요국가의 해외 비즈니스 환경

 ‘아시아의 IT허브, 코리아!’

 이번 월드컵으로 급상승한 IT코리아의 인지도를 실질적인 비즈니스와 국운(國運)상승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을 아시아 IT허브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월드컵에서 선보인 IMT2000, SDSL 등의 IT기술을 상용화하고 D램·TFT LCD·CDMA 등 세계 일류의 기술을 고도화하는 작업을 각국의 IT기업들과 함께 추진할 수 있는 인프라 마련과 투자유치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최근 IT업계에서는 그동안 숙원과제로 꼽혀오던 아시아 지역본부를 국내에 유치하고 자유IT무역지대를 조성해 중국시장을 겨냥한 대단위의 생산 및 마케팅 거점을 만들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부에서도 ‘포스트 월드컵’ 대책의 일환으로 범부처 차원에서 ‘신경제특구’를 만들 방침이다. 선진 IT기업은 물론 생명기술(BT) 등 제조 및 고도기술이 수반되는 고부가가치사업에 집중하는 외국기업을 유치, 아시아의 산업과 물류의 중심지로 거듭난다는 것이 골자다.

 후보지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각종 세제혜택과 교육기관·병원 등 생활편의 인프라를 마련한다는 내용의 특별법을 가을 정기국회까지는 마련, 내년에는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한국이 아시아의 IT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각종 인프라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아시아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 싱가포르와 홍콩을 제치고, 또 무섭게 뒤따라오고 있는 중국 상하이를 따돌리기 위해서는 민관이 공동으로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최근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를 비롯, 한국외국기업협회(FORCA) 등 외국계 기업단체들은 월드컵을 전후해 한국을 아시아의 허브국가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제안들을 연구조사 및 심포지엄을 통해 내놓았다.

 암참은 서울에 다국적기업의 아시아 지역본부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외환관리 완화, 소득세 경감, 노동유연성 제고, 국가 이미지 개선, 영어 구사력 향상 등 5가지가 다국적기업의 아시아 지역본부를 유치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노력을 집중해야 할 핵심사안으로 제시했다.

 제이스 루니 암참 이사는 “한국이 싱가포르, 홍콩 등 지금까지 아시아의 ‘허브 맹주’를 자처해온 국가들을 제치고 새로운 다크호스가 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목적의식을 가져야 한다”면서 “국내 금융권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남북한간 탄탄한 경제협력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싱가포르와 홍콩 수준의 다국적기업 지원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말 600여명의 외국기업 관계자를 모아 ‘2002서울투자포럼’을 개최했던 한국외국기업협회 김선재 사무국장은 “대다수의 참석자들은 한국이 자본시장이 투명하지 않고 인력시장이 고정화돼 있으며 각종 세제문제가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면서 “이를 개선하는 것은 정부의 의지와 정책에 달렸다”고 말했다.

 IT기업들의 목소리도 마찬가지다.

 김명찬 인텔코리아 사장은 “한국이 동북아의 중심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중국시장을 겨냥한 IT부문의 기술개발 및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언어능력을 배양하고 조세 및 무역규제를 완화하는 것도 필수적인 사안”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텔레콤 응 렁 케이 사장 “한국은 싱가포르에 비해 물류·세제의 규제뿐만 아니라 정치·문화환경 등에서도 각종 걸림돌이 많다”면서 “아시아 지역의 IT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외국기업에 대한 인식제고와 노동시장의 유연성, 글로벌 비즈니스를 도입할 수 있는 국민정서도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