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관 무협 전자무역추진위원장

 “전자무역은 이제 대통령이 직접 나서 챙겨야 할 국가적인 정책과제입니다.”

 지난 3월 김재철 무역협회장으로부터 초대 전자무역추진특별위원장에 위촉된 현명관 위원장(62·삼성 일본담당 회장 겸 삼성라이온스야구단 구단주)은 전자무역 국가정책의 조속한 수립을 위해서는 최고결정권자의 관심과 중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역은 생산에서 수출입 인·허가, 통관, 하역, 대금결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제활동이 응집돼있는 결정체입니다. 전자무역을 무역협회 차원에서만 단독 추진하거나 논의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있습니다. 범부처 차원의 접근이 절실합니다.”

 무역협회 산하 분과위원회 형식으로 지난 3월 발족된 전자무역 추진특위는 협회내 e트레이드팀과 KTNET에서 추진중인 전자무역 관련 사업에 대한 장단기 전략과 비전 제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정부내 각 부처와 유관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무역관련 업무를 전자무역의 틀 안에서 협의·조정하고 전자무역 추진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파악, 대정부 건의 등의 활동을 펼치게 된다.

 현재 수입 농산물 검역은 농림부, 의약품 수출입 허가는 보건복지부, 관세부과는 재경부, 물류·해운·항공은 건교부 등과 같이 수출입 절차별 단계업무가 부처별로 혼재한다. 따라서 현 위원장은 전자무역특위의 성패 관건을 ‘정부와의 협조여부’에 두고 있다.

 이 점에 있어 감사원 부감사관 출신(행시 4회)으로 민관을 두루 거친 현 위원장의 경력이 대정부 관계설정에 한몫할 것이라는 게 무역협회측 기대다. 삼성물산 부회장 재직시 글로벌 B2B사업의 부침을 직접 경험해 본 점은 물론, 현 위원장을 통한 삼성 차원의 특위 지원까지 바라는 시각도 적잖다.

 하지만 현 위원장은 이에 대해 “개인적인 경험이나 노하우가 특위 운영에 보탬은 되겠지만, 위원장직은 협회 부회장 자격으로 맡게 된 것이므로 삼성에서의 별다른 지원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며 선을 그었다. 오히려 그같은 기대는 중립적으로 운영돼야 할 특위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게 현 위원장의 지적이다.

 한편 현 위원장은 내년초 임기가 끝나는 김재철 무역협회장의 후임 물망에 최근 자신이 거론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능력밖의 자리”라며 말을 아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