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KT의 인터넷정보전화서비스인 리빙넷서비스를 상용화하면서 전화기업체들도 제품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KT가 연내 100만명의 가입자 목표를 본격적인 서비스에 돌입함에 따라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화기업계는 내심 리빙넷서비스의 성공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지난해 콜러ID전화기의 실패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A 전화기업체 사장은 “지난해 KT만 믿고 콜러ID 전화기를 시작한 대다수 업체들은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며 “누가 선뜻 KT를 믿고 전화기를 만들겠다고 나서겠냐”고 반문했다. 전화기업계는 리빙넷서비스가 제2의 콜러ID로 전락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콜러ID를 둘러싼 유선전화기업계의 불만은 지난해 9월 데이콤투콜투게더가 KT를 상대로 낸 고소장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피고측(KT)이 콜러ID서비스 개시일을 늦추고 당초 전국 65%의 전화가입자에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가능지역은 21.6%에 불과해 사업진행에 큰 타격을 입었을 뿐 아니라 사실상 도산상태에 처했다.’
더구나 KT는 리빙넷서비스를 추진하면서 전화기업계의 불신을 더욱 키워놨다. KT가 콜러ID 전화기 실패로 재정상 큰 어려움을 겪고있는 대다수 중소업체들의 현실을 무시한 채, 리빙넷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B 전화기업체 사장은 “‘우리(KT)는 서비스를 시작할테니 너희(전화기업체)는 따라만 오라’는 식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KT의 관료주의가 영세한 전화기업계를 또 한번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통신은 거스를 수 없은 대세다. 리빙넷서비스가 활성화돼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사업자 혼자만의 힘으론 성공적인 서비스를 기대할 수 없다. 안정적인 전화기 공급은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이다.
KT가 전화기업체를 상생의 파트너로 인정하고 신뢰회복에 나서야만 리빙넷서비스는 콜러ID전화기의 전철을 밟지 않고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가전부·김익종기자 ijkim@etnews.co.kr>
<김익종기자 ijkim@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 트럼프 2.0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전망
-
2
[人사이트] 전다형 심투리얼 대표 “합성데이터가 우주·항공 AI 경쟁력 원천”
-
3
[ET시선]HBM에 가려진 한국 반도체 위기
-
4
[황보현우의 AI시대] 〈24〉리걸테크와 법률 AI
-
5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2〉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하)
-
6
[전문가기고]습지, 우리 미래를 위한 핵심 생태계
-
7
[부음]김준하(삼성전자 MX사업부 디자이너)씨 부친상
-
8
[인사]서울경제신문
-
9
[부음] 윤건영(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씨 장모상
-
10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35〉 [AC협회장 주간록45] 스타트업 전략과 손자병법의 오사칠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