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시범사업 내년처 10여개 추가 선정

 업종별 특성에 맞는 기업간 상거래(B2B EC) 모델을 개발하는 ‘산업부문 B2B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업종별 B2B 시범사업)’의 대상업종이 현재의 20개에서 내년 초에는 30개 내외로 확대되고, 사업내용도 대폭 다양화된다. 특히 산자부는 지원범위를 표준화뿐만 아니라 ‘성과물의 시범적용 및 공동활용 가능한 협업모델 구현’ 등의 사업계획을 포함시킬 방침이다.

 산자부는 내년 2월 업종별 B2B 시범사업에 참여할 10여개의 업종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선정기준은 업종의 e비즈니스 기대효과를 비롯해 △e비즈니스 모델의 적절성 △컨소시엄의 대표성 △민간참여도 △활용계획 등이며, 특히 오프라인 업체의 참여의지가 B2B 활성화의 관건임을 감안해 업종내 오프라인 기업의 참여도(참여 기업수·현금 참여지분)에 대한 평가비중을 종전보다 높이고, 컨소시엄 대표기관도 IT 업체보다는 오프라인 기업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e마켓 또는 업종단체가 맡는 업종에 높은 점수를 부여키로 했다.

 특히 모든 업종의 B2B 구현 기반이 되는 전자결제·신용정보·무역 등 제 3자 지원군 서비스(TPSP:서드파티 서비스 공급자) 영역을 신설해 현재 e마켓의 실질적인 거래지원 인프라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산자부 전자상거래지원과 김종갑 국장은 “20개 업종의 시범사업을 추진하며 거론된 사안 중 하나가 시범사업의 결과물이 오프라인 기업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어렵다는 점이었다”며 “사업 범위를 표준화로 국한시키지 않고 결과물이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다시 반영할 수 있는 시험시스템 수준의 테스트 환경 구축까지 지원 범위를 넓히게 됐다”고 밝혔다.



 또 제 3자 지원군 서비스 영역을 신설한 이유에 대해서는 “업종이자 서드파티 성격이 강한 물류 업종을 선정했듯 전자결제나 신용평가 등 거래를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인프라 영역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업종은 내년 1월 말까지 한국전자거래협회에 신청할 수 있으며, 산자부는 민간전문가의 심의를 거쳐 2월 중 최종 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련업체들의 사업신청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공예·여행·과학기자재·출판인쇄·제지·의료·병원·비철금속 등 지난 2차 업종 선정에서 탈락한 업종들 중 대다수는 이미 유관업종을 망라해 그랜드컨소시엄 구성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혜선기자 shinhs@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