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테러사태후 아시아국중 한국만 신용등급상향<국제금융센터>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이 추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의 지속적 추진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 미 테러사태후 국제신용평가사들의 신용등급 조정에서 아시아 국가 중 한국만 신용등급이 높아졌다. 개발도상국 중에서는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레바논 등의 신용등급이 하락했다.

 아르헨티나는 미 테러사태후 국가부도위기에 몰려 S&P와 피치로부터 각각 3차례, 무디스로부터 한차례 등급하향조정을 당했다. 특히 S&P는 지난 6일 아르헨티나의 장기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SD)’등급으로 떨어뜨렸다.

 인도네시아도 내년 상환할 8억5000만달러에 대한 상환위험이 제기돼 신용등급이 추락했고 레바논은 정부부채축소가 미진한 것으로 지적돼 신용등급이 내려갔다.

 한국을 제외하면 동구권의 슬로바키아(BB+→BBB-)와 불가리아(B+→BB-)만 신용등급이 상향됐다. 올들어 아시아 국가 중 중국,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등은 현행유지 또는 조정이 없었고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등은 하향되거나 하향전망의견이 제시됐다.

 국제금융센터는 신용등급이 내려간 국가 대부분이 구조조정 미흡이 지적됐으며 S&P도 최근 한국에 대한 평가의견에서 기업·금융부문 구조조정완결을 외환위기전 등급(AA-) 회복의 주과제로 지적했다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에 따라 국가신용등급의 지속적 향상을 위해서는 소액주주 및 채권자의 권리강화, 회계기준향상을 통한 투명성 제고와 부실금융자산 정리를 통한 금융기관의 건전성 제고가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규태기자 kt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