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 벤치마킹>애슬론 듀얼-싱글시스템 비교; 성능 테스트

 

  테스트 사양

 

 CPU:애슬론XP 1800+

 메모리:삼성 레지스터 DDR SD램 512MB

 메인보드 : 타이안 선더 K7

 그래픽카드 : ATI 파이어 GL2

 하드디스크 : 시게이트 치타 18.36Gb

 스카시레이드컨트롤러 : AMI 익스프레스 500

 운용체계 : 윈도2000

 

 

 CPU 및 메모리 성능 테스트

 산드라 2001을 이용해 듀얼과 싱글로 작동할 때의 CPU 성능과 메모리 성능의 차이를 알아봤다. CPU 성능에서는 주로 멀티미디어 연산에서 어느 정도 차이나는 성능을 보여주는지가 관심이다.

 생각보다는 상당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AMD 듀얼시스템에서는 CPU 하나하나가 EV6버스에 따로 대응하는 구조다. 따라서 노스브리지와 CPU의 대역폭은 2.1Gb/s×2 = 4.2Gb/s에 이른다.

 펜티엄Ⅲ가 대략 1Gb/s, 4배로 높아진 펜티엄4의 경우에도 3.2Gb/s에 이른다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참고로 DDR 메모리를 듀얼 채널로 구성하는 엔비디아의 엔포스(nForce)의 대역폭이 바로 이 정도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듀얼시스템은 결코 1+1=2의 공식이 성립되지는 않는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하나의 원인은 두개의 CPU에 필연적으로 어느 정도 중복되는 부분이 생기는 탓이다. CPU 정수연산과 부동소수연산은 대략 50% 정도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이 정도라면 PC를 베이스로 하는 구성에서는 상당한 수준이다.

 멀티미디어 기능에서는 주목할만한 성능 향상을 보인다. 애슬론XP의 경우 펜티엄Ⅲ의 SSE를 지원하므로 마치 인텔 CPU처럼 인식된다. CPU 멀티미디어 성능에서는 완전한 100% 성능 향상을 보인다. 이것은 DDR 메모리의 효과가 제대로 반영된 덕분이다. 값비싼 레지스터 DDR 메모리를 고집하는 이유를 여기서 볼 수 있는데, 싱글보다는 듀얼에서 확실한 메모리 대역폭의 상승을 보여준다.

 

 애슬론 듀얼 애슬론 싱글

 정수연산 6276MIPS 4280MIPS

 부동소수점연산 4181MFLOPS 2123MFLOPS

 멀티미디어 정수연산 17012it/s 8538it/s

 멀티미디어 부동소수점연산 19468it/s 9784it/s

 정수연산시 메모리 대역폭 947MB/s 741MB/s

 부동소수점연산시 메모리 대역폭 975MB/s 787MB/s

 

 

 시네4D 테스트

 듀얼시스템이 제대로 위력을 발휘하는 분야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그 가운데는 워크스테이션급 컴퓨터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렌더링을 빼놓을 수 없다. 시네(Cine)4D는 3D 렌더링 프로그램으로 듀얼 CPU로 분산을 확실히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다.

 이런 렌더링 분야에서 듀얼이 같은 장점은 역시 분산이다. 한번의 작업에 몇 시간씩 걸리는 작업에서 듀얼시스템은 실질적인 작업시간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듀얼시스템은 70% 정도의 성능 향상을 보이는데 이 정도라면 듀얼시스템으로는 상당한 수준이다.

 

 애슬론 듀얼 애슬론 싱글

 CPU 연산능력 35.71 21.29

 

 

 TMPEGEnc 테스트

 얼마 전부터 DVD급 화질을 자랑하는 DIVX파일을 보는 일이 흔해졌다. DVD에서 동영상을 뽑아내어 DIVX로 만드는 작업은 생각보다 엄청난 CPU 성능을 필요로 한다. 펜티엄Ⅲ 1㎓ 정도의 CPU라도 몇시간씩 걸린다. 이런 작업이 듀얼 프로세싱이 제대로 위력을 발휘하는 분야다.

 엔코딩 프로그램 가운데 듀얼 프로세싱을 인식하고 애슬론XP에 더해진 SSE를 지원하는 TMPGEnc 프로그램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샘플1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짧은 예제파일이다. 이것을 기본옵션으로 인코딩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차이는 역시 약 60%선이다. 비교적 길이가 긴 샘플2의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듀얼 CPU가 제대로 위력을 발휘하는 순간이다.

 

 애슬론 듀얼 애슬론 싱글

 샘플1 18초66 29초33

 샘플2 1분22초 2분09초

 

 

 멀티미디어 성능 테스트

 CPU 성능 가운데 멀티미디어 관련 성능은 100%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를 산드라를 통해 알아봤다. 다만 이것이 시스템의 성능으로 반영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몇개의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해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참고로 쓰인 응용프로그램은 직접 구동한 것이 아니라,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비교했다.

 이제이 MP3은 캐논에서 만든 MP3 디코딩 프로그램이다. 앞에서 살펴본 TMPEGEnc처럼 듀얼 프로세싱을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최신의 윈도미디어인코더 역시 확실한 성능 차이를 보인다.

 

 애슬론 듀얼 애슬론 싱글

 이제이 MP3 1.3 283 165

 윈도미디어인코더 7.0 195 131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