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시범사업 추가업종 세부선정기준 관심 쏠린다

 산자부가 2002년에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던 B2B 시범사업(산업부문 네트워크구축 지원사업)의 업종을 이르면 이달 말 공고할 방침을 세우고 이를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세부 선정기준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번 11개 업종 선정에서 고배를 마신 일부 업종에서는 선정기준이 완화될 가능성도 있고, 사업자 선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절차상의 문제도 개선돼 지난번보다 수월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6일 산자부와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한국전자거래협회는 8일 ‘산업부문 B2B 시범사업 평가·자문위원회’를 개최해 추가 업종 선정에 관련된 세부 지침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선정 업종 수나 자격기준, 지난 11개 업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보인 문제점 개선방향 등이 주요하게 토론된다.

 ◇65억원을 몇개 업종에=산자부의 가장 큰 고민은 추가로 선정할 업종 수. 당초 11개 업종을 선정할 계획이었던 산자부는 단일 업종에 대한 정부지원금이 예상보다 많지 않아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었다는 점을 감안해 업종 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 정보전략계획(ISP) 담당사업자를 컨소시엄 출범부터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나 산업파급력과 무관하게 중소기업 지원사업으로 국한해 역차별당하는 업종이 발생했다는 점도 검토할 계획이다.

 ◇어떤 업종이 나설까=지난번 11개 업종에서 탈락한 업종들의 재도전이 유력하다. 사업추진 의사를 공식 밝힌 대표적인 업종은 비철금속. 비철금속은 지난번 함께 탈락한 알루미늄 업종과 연합해 그랜드컨소시엄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사업파급력이 큰 것으로 주목받았음에도 대기업 주도라는 이유 때문에 자격이 박탈됐던 플랜트설비 업종과 제지업종도 정부의 선정기준을 주시하고 있다. 최종 심사에서 근소한 차이로 11위권 밖으로 밀려난 여행, 자동화, 미디어, 공예, 병원업종이나 출판·인쇄, 의약품 등의 재도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 중 병원은 시범사업을 염두에 두고 ‘병원의료전자상거래기반조성사업단’을 만들었으며, 출판·인쇄도 유사업종으론 드물게 오프라인에서 공동 수배송을 하고 있다.

 ◇솔루션 사업성 고민=솔루션 업체들은 아직까지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고 있어 지난번과 전혀 다른 분위기다. 코리아e플랫폼·이네트·파이언소프트·아이컴피아 등 4개사가 연합해 선전한 ‘코리아B2B컨소시엄’은 이번 사업은 준비하지 않을 계획이며, 개별 사업자도 ‘하긴 할 것’이라는 입장만 밝히며 아직까지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11개 업종 선정 결과 업종당 평균 6억5000만원이 지원된 셈인데 이 중 2억원 정도는 컨소시엄 운영비로 소모되고 결국 업체당 1억원도 안되는 자금이 돌아가는 셈”이라고 밝혀 솔루션 사업자들이 사업성을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혜선기자 shinhs@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