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테크노마트]

<매도희망기술>

 ◇광촉매 정밀 코팅기술

 기술개요=유리나 금속·세라믹 등에 산화티탄 광촉매를 정밀하게 코팅해 오염방지, 자청(自淸)작용, 항균작용, 유기물 분해, 초친수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재료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다. 광촉매는 유리나 세라믹 등의 재료에 매우 얇고 투명한 막으로 코팅되므로 재료의 원래 기능과 미관을 손상하지 않는다. 코팅막은 미크론(1㎛은 100만분의 1m) 단위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두께에 따라 아름다운 무지개 빛을 내게 할 수도 있다. 정밀 딥코터(dip-coater)를 사용하는 광촉매기술을 이용하면 균일막을 얻을 수 있으며 자유롭게 두께조절을 할 수 있다. 건물외장용 유리, 건물외장용 세라믹 패널, 터널 조명등용 유리 덮개, 방음벽, 음료용 컵, 식기류(항균작용)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사업성=이 기술은 유리·세라믹 등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존 업체의 경우 매우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에 광촉매 코팅 공정만을 추가해 광촉매 기능을 가지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적 손쉽게 사업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광촉매 코팅은 정밀 딥코터를 사용하므로 작업이 단순해 숙련공을 채용하거나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기타 추가 시설장비도 거의 필요치 않아 경제적 부담도 크지 않은 편이다.

 <연락처 : 한국기술거래소 전문위원 황정원 (02)551-4257 jwhwang@kttc.or.kr>

 

◇단일 카메라 다방향 촬영장치

 기술개요=무거운 카메라를 회전시키거나 여러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입사경로 변경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다방향 촬영용 장치다. 이 기술은 카메라를 고정시키고 카메라 렌즈에 입사되는 피사체상의 방향과 위치를 바꾸기 위해 프리즘이나 반사경 등의 입사경로 변경수단을 이용하는 원리로 개발됐다.

 이 기술은 고정된 카메라로 주위의 다방향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피사체의 입사경로를 변경하는 것이다. CCD카메라를 사용해 동서남북 다방향에 있는 피사체를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프리즘 또는 반사경을 이용해 피사체를 고정된 카메라에 입사시키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즉, 카메라에 입사되는 입사경로 변경수단을 통해 네방향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각 방향에서 얻어진 혼합 영상신호를 각각의 영상신호로 분리해 정립된 영상으로 보정하고 분리된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다. 개발사는 시제품 제작을 완료했다. 건물화재감시 모니터링, 안전사고 모니터링, 교통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사업성=기존에는 다방향에 다량을 설치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있었으나 단일 카메라로 촬영하는 기법을 개발한 이 회전식 카메라 촬영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수량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뿐만 아니라 모니터 역시 분할표시함으로써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다. 최근 국내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보안감시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대중 등 수요층이 광범위하게 형성되고 있다. 미국·유럽 등의 선진국과 대만·싱가포르·동남아시아 등 해외시장에서도 크게 신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기술이다.

 <연락처 : 한국기술거래소 전문위원 이호순 (02)551-4268 hslee@kttc.or.kr>

 

 <매입희망기술>

 ◇함체(rack) 관련 소재 개발 기술

 매입희망기술=이동통신용 기지국 또는 중계기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함체 등은 장비의 불량 및 오작동 증가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장비의 고집적화, 소형화, 사용빈도의 증가에 따른 단위체적당 열 발생률이 늘어나는 데 따른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해 열전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소재 및 방열구조에 관한 기술의 매입을 원하고 있다.

 <연락처 : 한국기술거래소 전문위원 이후영 (02)551-4270 hylee@kttc.or.kr>

 <자료제공 : 한국기술거래소>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