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5개 디지털방송국 허가

 정보통신부는 KBS1·2, EBS, MBC, SBS 등 4개 방송사 5개 채널에 대한 디지털방송국을 허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KBS1·EBS(11월 5일)를 시작으로 SBS가 11월께, MBC가 12월 2일, KBS2가 12월 말 본방송을 각각 실시하는 등 본격적인 디지털방송시대가 열리게 됐다.

 본방송이 실시되면 시청자는 시험방송용 채널 14∼16번이 아닌 아날로그 채널과 같은 6∼13번에서 각각의 디지털방송을 볼 수 있게 된다.

 디지털방송은 현재 아날로그TV보다 4∼5배 이상의 고화질과 CD수준의 음질은 물론 데이터방송 등 다양한 통신·방송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수도권 지역을 시작으로 오는 2003년에는 광역시, 2004년에는 도청소재지, 2005년에는 시·군까지 단계적으로 디지털방송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디지털전환 초기에 방송사별로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점을 감안해 외산장비 도입 때 관세액의 85%를 감면해 주고 전국 디지털 송·중계시설 설치, HDTV 제작·편집시설 등에 내년부터 2005년까지 정보화촉진기금을 융자지원할 방침이다.

 또 고선명TV(HDTV) 조기정착을 위해 HD프로그램 공급기반 조성, 각종 디지털방송 기술개발, 인력양성 등에 정보화촉진기금 및 방송발전기금 등을 활용 지원해 디지털전환을 순조롭게 이끌 계획이다.

 노준형 전파방송관리국장은 “디지털방송 실시로 시청자들이 보다 다양하고 품질 높은 방송을 볼 수 있게 됐다”며 “방송사가 그동안 발전된 IT기술을 방송에 본격적으로 접목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며 디지털방송 관련 제조업의 활성화뿐 아니라 콘텐츠 산업 활성화와 수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억기자 be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