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지불 표준화 분쟁 `매듭`

 정보통신부와 산업자원부의 자존심 대결로 치닫던 전자지불 표준화 주도권 분쟁이 최근 일단락됐다.

 정통부 산하 한국전자지불포럼(의장 정인식)과 산자부 개방형 전자화폐사업을 위탁하고 있는 한국IC카드연구조합(회장 이호군)은 최근 양기관간 통합운영에 합의하고, 전자지불 관련 각종 표준화 사안들을 공동추진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ECIF·회장 박용성) 출범 이후 1년 이상 끌어온 ‘전자지불기술위원회’도 곧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향후 지불 관련 표준화 작업이 급류를 탈 전망이다. 관련기사 5월 15일자 12면 참조

 ECIF는 당초 전략·전자문서·전자카탈로그·지불 등 4개 분야에 세부 표준화 기술위원회를 설치키로 했으나 지불 분야는 그동안 기관간의 첨예한 대립으로 난항을 거듭해왔다.

 이번 합의에 따라 한국IC카드연구조합은 지난 3월 자체 결성한 전자화폐표준화포럼을 해체하는 대신 전자지불포럼의 특별회원 기관으로 가입키로 했다. 가입과 동시에 전자지불포럼은 ECIF의 지불기술위원회를 위임받아 운영키로 했다.

 또 전자화폐표준화포럼 회원사 가운데 최소 20개사를 전자지불포럼에 가입토록 해 총 50개사에 달하는 지불 관련 산업단체로 재구성키로 했다. 전자지불포럼은 또 회원사 신규 가입을 독려하기 위해 가입비(1000만원)를 면제하고, 연회비(200만원)만 받기로 하고 이사회에서 동의를 얻었다. 이와 함께 전자지불포럼 산하 전자화폐 분과위를 IC카드연구조합이 맡도록 함으로써 스마트카드 관련 지불표준화 주도권을 주기로 했다. 정통부와 산자부도 이 같은 방안에 의견을 모으고 향후 양기관의 상호협조를 지원키로 했다.

 전자지불포럼은 이번 합의 내용을 적극 수용하기 위해 정관 개정작업 등을 거쳐 다음달 중 신임 의장단을 구성하고 ECIF 참여를 공식선언할 계획이다. 전자지불포럼 관계자는 “표준화 대의를 위해 일단 양기관이 서로 양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원칙적인 합의를 끌어냈다”면서 “구체적인 계획은 추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자지불포럼은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식경제센터(소장 이승철) 산하 전자지불산업협의회와도 공조방안을 모색, 관련 업계의 포괄적인 협의기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