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컴퓨터 전문가라고 하면 프로그래머를 말한다. 프로그래머는 말 그대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이다. 예를 들어 기업의 전산실에 근무하는 프로그래머는 회사에서 원하는 인사·재무·회계·업무 등의 프로그램을 만든다. 이러한 프로그래머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정보처리자격증이다.
정보처리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한다. 이 자격증은 응시자격 조건이 있다. 정보처리기사는 4년제 대학교 졸업예정 이상, 정보처리산업기사는 2년제 대학 졸업예정 이상인 사람에 한해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반면 정보처리기능사는 자격조건이 없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구분된다. 컴퓨터 관련 이론을 평가하는 필기시험은 정보처리기사의 경우 전자계산기구조·데이터베이스·운용체계·소프트웨어공학·데이터통신 등 과목당 20문제씩 100문제를 풀어야 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는 전자계산기구조·데이터베이스·운용체계·시스템분석 및 설계·정보통신개론 등의 과목당 20문제씩 100문제가 출제된다.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단 평균점수가 아무리 높더라도 40점 이하의 과목이 있다면 불합격 처리된다. 합격률은 20∼30% 정도로 꽤 어려운 편이다. 최근 출제에서 조심할 부분은 데이터통신인데 난이도가 높다. 최근에 신설된 과목인 소프트웨어공학이나 데이터베이스 과목도 주의해야 한다.
실기시험은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래밍언어(비주얼베이직·델파이·파워빌더
등)를 이용해 주어진 과제를 만드는 방법으로 치러진다. 문제 유형은 주로 실무적인 프로그램 문제로 급여관리·상품판매·고객관리·판매관리·연봉책정·요금계산 등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문제유형이 어느 정도 고정돼 있으므로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푸는 연습을 해야 한다. 특히 올해 9월 1일부터 문제가 4문제로 확대되고 알고리듬 분석 등이 추가돼 난이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따라서 올해 취득을 원하는 사람은 6월 필기, 7월 실기시험을 노리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자격증을 따면 주로 컴퓨터시스템이 갖춰진 기업체나 공공기관, 데이터통신을 이용해 정보처리 업무를 하는 회사 등 전 산업분야로 폭넓게 진출할 수 있다. 이 자격증을 갖고 있으면 대부분의 기업이 전산실 직원을 모집할 때 가산점을 주고 공무원 시험에서도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국가기술자격법령에 의거해 일반직 7급 공무원인 경우 정보처리기사 이상은 3%, 산업기사는 2%의 가산점을 받는다. 또 지난 94년부터는 전산직공무원 5급과 7급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정보처리기사 이상의 자격증을, 9급에 응시하려면 산업기사 이상을 취득해야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학점은행에서는 정보처리기사는 39학점을, 산업기사는 24학점을 인정받는다.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정보사업본부 이상돈 소장 lsd@dreamwiz.com>
2001년도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시험일정
종목
회차
필기시험
실기시험
접수일
시험일
합격자 발표
접수일
시험일
합격자 발표
정보처리기사
1회
2.12 ∼ 2.14
3. 4
3.26
3.26 ∼ 3.29
4.22 ∼ 5. 3
6. 4
2회
5. 7 ∼ 5. 9
6. 3
6.18
6.18 ∼ 6.21
7.15 ∼ 7.25
8.27
3회
8.27 ∼ 8.29
9.23
10. 8
10. 8 ∼ 10.11
11. 4 ∼ 11.14
12.17
정보처리
산업기사
1회
2.12 ∼ 2.14
3. 4
3.26
3.26 ∼ 3.29
4.22 ∼ 5. 3
6. 4
2회
5. 7 ∼ 5. 9
6. 3
6.18
6.18 ∼ 6.21
7.15 ∼ 7.25
8.27
3회
8.27 ∼ 8.29
9.23
10. 8
10. 8 ∼ 10.11
11. 4 ∼ 11.14
12.17
정보처리기사 시험과목 및 과목 세부 시험기간
검정방법
시험과목
문제수
제한시간
출제방식
합격기준
필기
데이터베이스
20
30분
객관식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전자계산기구조
20
30분
운용체계
20
30분
소프트웨어 공학
20
30분
데이터 통신
20
30분
실기
정보처리 실무
-
180분 이내
작업형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자료처리, 파일·데이터 베이스처리, 화면처리, 출력처리, 통신)
정보처리 산업기사 시험과목 및 과목 세부 시험기간
검정방법
시험과목
문제수
제한시간
출제방식
합격기준
필기
데이터베이스
20
30분
객관식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전자계산기구조
20
30분
시스템분석설계
20
30분
운용체계
20
30분
정보통신개론
20
30분
실기
정보처리 실무
-
150분 이내
작업형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자료처리, 파일·데이터 베이스처리, 화면처리, 출력처리)
많이 본 뉴스
-
1
켐트로닉스,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시동…“인수한 제이쓰리와 시너지 창출”
-
2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3
“美 트럼프 행정부, TSMC에 '인텔과 협업' 압박”
-
4
온순한 혹등고래가 사람을 통째로 삼킨 사연 [숏폼]
-
5
트럼프, 경기장에서 야유받은 스위프트에 '뒤끝'
-
6
"불쾌하거나 불편하거나"...日 동물원, 남자 혼자 입장 금지한 까닭
-
7
트럼프 취임 후 첫 한미 장관급 회담..韓은 관세·美는 조선·에너지 협력 요청
-
8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9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10
“시조새보다 2000만년 빨라”… 中서 쥐라기시대 화석 발견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