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세계 두번째로 도입

그간 민간 차원에서 추진됐던 차세대인터넷 IPv6 도입이 정부의 공식 정책으로 확정됐다.

이로써 한국은 일본에 이어 세계 두번째로 국가 차원의 IPv6 도입을 결정한 나라가 됐고, 오는 2005년까지 줄잡아 800억달러로 예상되는 관련 장비시장 선점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총력 개발체제가 구축된다. 관련기사 5면

정보통신부는 인터넷의 새로운 주소체계로 주목받고 있는 IPv6를 전략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차세대인터넷 기반구축계획」을 수립, 시행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정통부는 오는 2003년까지 정부예산 468억원, 민간 투자분 368억원 등 모두 836억원을 투입, IPv6를 활용한 IMT2000단말기, 정보가전기기 개발은 물론 라우터 등 초고속인터넷 장비개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정통부는 특히 효과적인 IPv6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기존 정부의 전략 프로젝트인 △초고속망 고도화계획 △인터넷 정보가전 산업육성계획 △광인터넷 기술개발계획 등과 연계,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통부는 현 IPv4 기반의 인터넷망을 단계적으로 IPv6망으로 진화시키기로 하고 실험망 수준의 IPv6망 구축과 인식확산을 1단계 사업으로 상정, 연내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2단계(2002∼2005년)는 연구망 및 국가망인터넷 등 비영리망에서 우선적으로 IPv6를 도입하고 IMT2000 및 상업용망에서의 IPv6 도입 유도, 기존 망의 변환체계 구축 등이 추진된다.

정부는 IPv6망간 연동체계가 구축되는 3단계(2006∼2010년)사업을 거쳐 오는 2011년부터 완전 한국내 IPv6망 구축 및 해외 IPv6망과의 연동체계를 유지하는 4단계 사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택기자 etyt@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